고적
> 주제별 해제 > 고적 > 북청성남문   
배경
배경 총설 배경 고분 유적 배경 기타 경주지방고적 배경 기타 탑고적
배경 북청성남문 배경 금산사 배경 미륵사지석탑 배경 기타 각종 고적
배경 평양보통문 배경 부석사 배경 분황사석탑  
배경 기타 북한지방고적 배경 불국사 배경 중원탑평리칠층석탑  
배경 북청성남문
  북청성(北靑城)은 함경남도 북동부에 있는 북청군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읍성이다. 현재 일제시기 건축 도면 중에는 북성성 남문의 수선공사와 관련된 도면이 15매 소장되어 있다. 도면에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공사의 연대는 알기 어렵다. 하지만 이 도면들은 현재 몇 남아 있지 않은 조선시대의 중층 문루 건축의 모습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도판1]은 ‘북청남문실측도/1’로 당시 북청성 남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남문에는 중앙에 홍예문이 있는 성벽 위에 중층의 누각이 세워져 있는데, 누각의 상층에는 ‘세전루(洗箭樓)’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하층은 전면 5칸, 상층은 전면 3칸으로 되어 있으며, 각각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각층에는 다포를 사용하였으며, 기둥에는 배흘림을 주어 화려한 모습을 뽐내고 있다.
 [도판3]은 수리 공사 이전에 북청남문의 각층 평면과 초석, 지붕 앙시도를 실측한 도면이다. 하층은 전면 5칸, 측면 3칸으로 되어 있으며, 상층은 전면 3칸, 측면 2칸으로 되어 있다. 상층의 기둥이 하층까지 그대로 내려와 고주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이러한 중층건물에 대하여 김봉건은 ‘온칸물림형 중층건축’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온칸물림형 중층건축은 내진주로 둘러 싼 내진공간(內陣空間)과 그 주위를 둘러싼 외진공간(外陣空間)이 회(回)자형의 모습을 하게 되며, 하층에 부가되는 퇴칸은 내진칸에 비하여 실제 활용도가 낮아지고 그 크기도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이 북청남문에서도 그대로 드러나며, 외첨주와 내진고주의 관계는 단면도인 [도판4]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판5]는 세전루 하층을 보강하는 공사 도면이다. 기재된 평면도와 단면도에는 각 기둥의 초석 하부에 잡석과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기초를 보강하는 계획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성곽과 계단의 수선 공사에 대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북청남문의 공사는 건물 전체에 공사를 위한 가설집과 비계를 설치하여 공사를 진행하였는데, 그 모습을 [도판6][도판7]에서 볼 수 있다.

<참고도판>
도판1. 북청남문실측도/1,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2. 북청남문실측도/5,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3. 북청남문실측도/2,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4. 북청남문수선공사설계도/9,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5. 북청남문수선공사설계도/3,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6. 북청남문수선공사설계도/수옥근급족대북측건도/15, 연대미상 상세보기
도판7. 북청남문수선공사설계도/수옥근급족대동측건도, 연대미상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