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적
> 주제별 해제 > 고적 > 기타 경주지방고적   
배경
배경 총설 배경 고분 유적 배경 기타 경주지방고적 배경 기타 탑고적
배경 북청성남문 배경 금산사 배경 미륵사지석탑 배경 기타 각종 고적
배경 평양보통문 배경 부석사 배경 분황사석탑  
배경 기타 북한지방고적 배경 불국사 배경 중원탑평리칠층석탑  
배경 기타 경주지방고적
 삼국시대의 신라와 이후 통일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그 오랜 시기만큼이나 각종 고적들이 많이 남아 있다. 현재 경주시 일원에 흩어져 있는 신라시대의 유적들은 ‘경주 역사유적지구(Gyeongju Historic Areas)’로 2000년 11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일제시기 조선총독부 역시 경주의 각종 고적들에 대한 많은 조사와 보존 및 보수 공사를 시행하였는데, 그와 관련된 도면들이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다. 불국사 도면 36매, 분황사석탑 19매, 기타 경주 소재 석탑 8매를 제외한 나머지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 시설명 도면 매수
1 포석정 3
2 경주 월성 2
3 경주 고적군 배치도 4
총계 9

 [도판1][도판2]는 경주 일대에 대한 광역 배치도이다.
 [도판1]은 ‘경주고적군배치도’로 당시 경주 시가지의 현황과 인근에 흩어져 있는 각 고적들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 도면의 왼쪽 하단에는 별도의 지도로 ‘경주불국사간교통약도’가 기재되어 있기도 하다. 또한 이 도면에는 작성연도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경주 시가 서쪽으로 형산강을 따라 대구-포항간의 경동선(지금의 대구선, 1918년 10월 31일 개통)이 기재되어 있어 1918년 이후부터 1920년대 초반에 작성된 도면임을 추정할 수 있다.
 [도판2]는 도면의 일부가 유실되어 그 제목과 범례를 알아 볼 수 없지만, 도면에는 경주 구도심의 모습과 인근의 광역 지형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는 주요 고적움˜ 위치와 이름이 폀œ시되어 있어 당시 조선총독부가 파악하고 관리했던 경주 지방 고적의 현황을 잘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현재 경주의 구시가지인 동부동 일대의 조선 읍성의 북쪽과 서쪽 성곽이 아직 남아 있음을 볼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1926년 건립되었던 ‘조선총독부 박물관 경주분관’이 ‘박물관(博物館)’이라고 표시되어 있고, 대구에서 오는 철도가 [도판1]과는 다르게 동래-경주-울산-포항 간의 동해남부선에 접속되는 형식으로 바뀌어 있음이 기재되어 있어, 이 배치도가 ‘조선철도12년계획’이 시행되기 시작한 1930년 이후의 도면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근대 초기의 광역 배치도들은 현재 도시의 발달사와 철도의 부설, 토지 이용의 변화상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도판3]은 ‘월성’이라는 제목의 배치도이며, 황오리(皇吾里) 등의 지명이 표기되어 있어, 해당 위치를 알 수 있게 해주고 있다. 경주 월성(月城)은 사적 제1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신라의 궁궐이 있던 도성이었다. 성의 모양이 반달처럼 생겼다하여 월성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반월성, 신월성이라고도 한다. 성의 남쪽에 절벽을 두고, 나머지 방향은 흙과 돌로 성을 쌓았으며, 성벽 밑에는 물이 흐르도록 인공적으로 마련한 방어시설인 해자가 있었다. 이 도면에는 일대의 배치가 표시되어 있어, 당시의 토지 이용 상황과 경주 월성의 근대기 모습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도판4][도판5]는 ‘경주포석정보존공사준공도’이다. 경주의 포석정지(鮑石亭址)는 사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경주 남산의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의 유적이다. 포석정지에는 현재 관련 건물은 전혀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 돌로 만든 물길이 남아 있으며, 이 물길은 당시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잔치인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을 하던 장소였다. 이러한 잔치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행해졌지만, 오늘날 그 자취가 남아있는 곳은 경주 포석정뿐이다.
 [도판4]는 배치도로, 포석정의 물길 주변에 담장을 둘러 포석정지를 보존하기 위한 계획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판5]는 포석정 물길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단면도에서는 당시 포석정의 보존을 위해서 지반 보강 공사를 시행한 모습이 기재되어 있다.

<참고도판>
도판1. 경주고적군배치도, 1910년대 후반-1920년대 초반 추정 상세보기
도판2. (무제), 1930년대 추정 상세보기
도판3. 월성/기1, 1910-20년대 추정 상세보기
도판4. 경주포석정보존공사준공도, 1915-16년 추정 상세보기
도판5. 경주포석정보존공사준공도/2, 1915-16년 추정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