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약어와 국문| 약 어 | 원 문 | 국 문 |
|---|---|---|
| AF | The Asia Foundation | 아시아 재단 |
| AFR | Age-specific Fertility Rate | 연령별 출산율 |
| AI | Aging Index | 노령화 지수 |
| AID |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국재 개발처 |
| CBD | Community Based Distribution of Contraceptives | 피임보건사업 |
| CBR | Crude Birth Rate | 조출생률 |
| CDR | Crude Death Rate | 조사망률 |
| IBRD | International Bank of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 세계은행 |
| ICOMP | International Council On Management of Population Programmes | 국제 인구사업 관리위원회 |
| ILO |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 국제 노동기구 |
| IM | International Migration | 국제 이동 |
| IPPF | International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 국제 가족계획연맹 |
| JOCIFP | Japanese Organization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Family Planning | 일본 가족계획 국제협력단 |
| LE | Life Expectancy | 평균수명 |
| LEA | Life Expectancies at specified Age x | X세에서의 기대여명 |
| MA | Mean Age | 평균연령 |
| PC | Population Council | 미국 인구협회 |
| PC | Population Census | 인구총조사 |
| PGR | Population Growth Rate | 인구증가율 |
| PHC |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인구주택 총조사 |
| PP | Population Projection | 추계인구 |
| PRL |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 인구대체수준 |
| SIDA |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Authority | 스웨덴 국제개발처 |
| TFR | Total Fertility Rate | 합계출산율 |
| UNFPA |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 국제연합 인구기금 |
| UNICEF |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 | 국제연합 국제아동기금 |
| USOM | United States Operations Mission | 미국 대외원조 기관 |
| WHO | World Health Organization | 세계보건기구 |
주요 용어| 용 어 | 설 명 |
|---|---|
| 고령사회 |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가 14% 이상인 사회 |
| 고령인구 | 65세 이상 인구 |
| 고령화사회 |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가 7% 이상인 사회 |
| 국제순이동 | 입국자와 출국자의 차이(입국초과 : 입국이 출국보다 많은 경우, 출국초과 : 출국이 입국보다 많은 경우) |
| 국제이동 | 내국인 및 외국인이 출입국시 작성한 신고서를 기초로 체류기간이 90일을 초과하는 장기이동자(Long-term mover)를 말함 |
| 기대수명 | 출생자가 향후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년수로「0세의 기대여명」을 말함 |
| 기대여명 | 어떤 연령에서 생존하고 있는 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년수 |
| 노령화지수 | 유소년인구(0-14세)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의 비(노령화지수=[고령인구(65세 이상)÷유소년인구(0-14세)]×100) |
| 노인인구 부양비 |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당 피부양 노년인구(65세 이상) |
| 부 양 비 | 생산연령(15-64세)인구 100명에 대한 비생산연령(0-14세, 65세 이상)인구 |
| 사 망 력 | 건강, 경제 사정, 보건의료 혜택 등을 고려한 사람들의 사망수준 |
| 생산연령인구 | 15-64세 인구 |
| 성 비 | 여자 100명당 남자의 수 |
| 유배우율 | 인구 100명당 현재 혼인상태에 있는 인구 |
| 유배우 이혼율 | 연간 이혼건수를 해당연도의 유배우 인구로 나눈 수치로 1,000분비로 나타냄 |
| 유소년 부양비 | 생산연령(15-64세)인구 100명 당 유소년(0-14세)인구 |
| 유소년인구 | 0-14세 인구 |
| 연령별 출산율 | 가임기(15-49세) 연령별 여자 1,000명이 한 해에 출산한 아이 수 |
| 이 동 률 | (연간 이동자수 / 주민등록 연앙인구)× 100 |
| 인구구조 | 전체인구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등의 분포상황 |
| 인구대체수준 (대체출산수준) |
인구를 현상 유지하는데 필요한 합계출산율 수준인 2.1명 |
| 인구밀도 | 일정한 지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의 과밀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1㎢당 인구를 말함 |
| 인구변동요인 | 인구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구성요소로 출생(Births), 사망(Deaths), 국제이동(International Migration)을 말함 |
| 인구성장률 | 특정 연도간의 인구변동요인(출생, 사망, 이동)을 모두 감안한 인구증가(감소)율 |
| 인구이동 | 일정한 지역에 살던 사람이 특정 지역경계를 벗어나 다른 곳으로 옮겨 사는 것 |
| 인구주택총조사 | 모든 인구와 주택의 총수는 물론 개별 특성까지 파악하여 각종 경제 사회 발전계획의 수립 및 평가와 각종 학술연구, 민간부문의 경영계획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는 전국적 규모의 통계조사 |
| 인구증가율 | 자연증가율(출생률-사망률) + 사회증가율(전입율-전출율) |
| 일반출산율 | 특정 1년의 총출생아수를 가임기(15-49세) 여자인구로 나눠준 것을 1,000분비로 나타낸 것 |
| 입 국 | 국경을 넘어 외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해 온 경우(내국인 : 90일 이상 외국에서 거주하다가 국내에 입국하여 90일 이내에 출국하지 않은 사람, 외국인 : 외국에서 국내로 입국하여 90일 이내에 출국하지 않은 사람) |
| 조사망률 | 1년간의 총사망자수를 당해 연도의 연앙인구(7월 1일 기준)로 나눈 수치를 1,000분율로 나타낸 것 |
| 조출생률 | 1년간의 총 출생아수를 당해 연도의 연앙인구(7월 1일 기준)로 나눈 수치를 1,000분율로 나타낸 것 |
| 중위연령 | 인구를 연령별로 나열할 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에 해당하는 연령 |
| 초고령사회 |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구성비가 20%이상인 사회 |
| 총부양비 | 유소년부양비 + 노년부양비 |
| 총 인 구 | 7월 1일 기준 연앙(年央)인구로, 과거에 대한 확정인구(Population Estimate)와 향후의 인구변동 요인(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고려하여 작성한 추계인구(Projected population) |
| 추계인구 |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를 기초로 인구 동태율을 반영하여 매년 7월 1일 현재로 추계한 인구 |
| 출 국 | 국경을 넘어 한국에서 외국으로 이동해 간 경우(내국인 : 국내에서 외국으로 출국하여 90일 이내에 입국하지 않은 사람, 외국인 : 90일 이상 국내에서 거주하다가 외국으로 출국하여 90일 이내에 입국하지 않은 사람) |
| 출 산 력 | 결혼, 피임, 건강, 경제사정 등을 고려하여 여성들이 아이를 실제로 출산하는 수준 |
| 평균수명 | 0세에서의 기대여명 |
| 평균연령 | 해당인구에 (연령 +05)을 곱하여 이를 누적한 후 총인구로 나누어 구한 연령 |
| 합계출산율 | 어떤 해의 연령별 출산율이 일정할 경우 한 여자가 가임기간(15세~49세) 동안 출산한 평균 출생아 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