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영화

  • 문화영화
  • 개념

시대 반영물로서의 문화영화

한국의 문화영화는 영화의 수용과 정착, 활기와 변화, 쇠퇴와 소멸의 단계적 과정이 거대한 역사적 흐름과 결부되어 있고, 그 내용적·형식적 특성으로 말미암아 개별 작품 속에 시대적 양상이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담겨져 있다. 비교적 적은 비용이 투입되고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다수의 문화영화가 국가의 주도로 기획, 제작, 배급, 상영되었다는 점이 커다란 요인으로 자리한다. 그렇다 보니 교육적·계몽적·시사적, 때로는 예술적·상업적 차원에서 정치·경제·사회·문화 방면의 다양한 주제가 촬영의 대상으로 채택되어 다채로운 작품 경향을 선보이게 된 것이다.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수백 편의 문화영화를 통해서도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떠날 수 있다. 정치 분야에서는 정권 유지·국방 및 안보 강화·국제 친선과 외교 협력 등이, 경제 분야에서는 산업 발전·국토 개발·소득 향상 등이, 사회 분야에서는 공익 실현과 질서의 준수·생활 개선 및 의식 제고·지혜의 습득 및 지식의 확장 등이, 문화 분야에서는 순수·대중·민족·인류 문화의 창달 등이 핵심 주제로 설정되어 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영화 속 내용이 시대별로 조금씩 상이한 분포를 나타내었다는 사실이다. 형식에 있어서도 대동소이하다.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문화영화는, 양식적 측면에서는 시기에 따라 러닝 타임이 긴 것과 짧은 것, 단편과 시리즈, 다큐멘터리와 내러티브 영화의 비중이 다르게 형성되었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화면 색깔을 기준으로 흑백에서 컬러로, 기록 매체를 기준으로 필름에서 비디오로, 영상 화면을 기준으로 실사 일변도에서 애니메이션 등 여타 이미지로 이동 또는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가기록원 문화영화 콘텐츠에는 이와 같은 한국 문화영화의 시대별 특수성과 변화상이 개괄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특징적 양상에 관한 분석적 설명이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한국영화사에서 시대 반영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문화영화에 대한 관심의 저변과 사유의 지평이 더욱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극장에서 영화를 보기까지

오늘날 영화관에서는 상영시간표에 쓰여 있는 시간보다 대체로 10분 정도 늦게 영화가 시작된다. 관객들은 불이 꺼지고 나서도 반강제로 원치 않는 광고를 보아야 한다. 1990년대 초까지 관객들은 본 영화를 보기 위해서 30분 가까이 기다려야 했다. 우선 상품광고가 4분 정도 이어지고 나면 대한뉴스 9분, 문화영화 10분, 공익광고협의회 홍보 1분 10초, 애국가 1분 20초가 끝나고 나서야 본 영화가 시작되었다. 애국가가 극장 안에 울려 퍼질 때에는 모든 관객들이 일어나 가슴에 손을 얹고 애국가가 끝날 때까지 서있어야 했다. 영화관에서 애국가 상영은 1989년 초에 중지되었지만, 대한뉴스 상영은 1994년, 문화영화의 상영은 1998년까지 계속되었다. 대한뉴스는 적게는 1개, 많게는 4~5개의 뉴스가 묶인 뉴스영화로서, 정부의 시책이나 대통령의 동향, 정권 홍보가 주된 내용이었다. 그렇다면 대한뉴스와 함께 오늘날 극장에서 완전히 사라진 문화영화란 무엇일까?

문화영화의 개념과 범주

문화영화란 일반적으로 극장에서 흥행을 목적으로 공개하는 극영화의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논픽션 영화(nonfiction film), 다큐멘터리 영화(documentary film), 기록영화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문화영화는 오늘날 TV에서 방송되는 시사보도 다큐멘터리, 교육 다큐멘터리, 세미 다큐멘터리, 다큐드라마 등과 유사하며, 넓은 의미로는 국가의 의도가 강하게 들어간 선전성을 띤 극영화들을 포함한다. TV 방송에서 본격적으로 다큐멘터리가 제작되기 이전 시기에 문화영화가 갖는 의미와 영향력은 대단히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영화의 정확한 개념을 규정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문화영화가 역사상 특정 시기에 존속하였던 역사적 개념으로서 매우 광범위한 범주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영화는 ‘교육영화’, ‘계몽영화’, ‘선전영화’, ‘기록영화’, ‘과학영화’, ‘산업영화’, ‘긴급지도영화’ 등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형태면에서 문화영화는 사실의 기록을 위주로 한 비(非)극영화에서부터 극적 요소를 도입하거나 아예 극영화로 기획된 것 등 다양했고 심지어 실사가 아닌 애니메이션도 다수 존재했으며, 한때는 광고영화나 SF영화도 문화영화로 취급되었다. 영화의 길이(런닝타임) 측면에서는 1960년대까지는 5분에서 20분 사이의 단편영화가 대종을 이루었으나 1960년대 말부터는 장편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주제가 일관된 몇 개의 단편을 시리즈로 묶어 기획한 것도 적지 않았다. 내용면에서 문화영화는 단순한 사실의 전달보다는 어떠한 사건의 자세한 면모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외국 소식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를 상세히 설명하고 있어 당시의 시대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영상사료이다.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2동
© National Archives of Korea.

국가기록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