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영화보기

  • 영화보기
  • 전체

정의는 부른다

영상소개

  • 분야

    정치

  • 생산연도

    1957

  • 감독

    김영권

  • 생산기관

    공보실 선전국 영화과

  • 관리번호

    CEN0002055

  • 재생시간

    09분 35초

영상해설

  • UN가입을 희망하는 한국 국민의 민족적 염원과 UN가입의 정당성을 표현한 영상기록이다.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감시 하에 1948년 총선 실시, 초대 대통령으로 이승만 대통령 취임, UN의 합법정부로 승인, 6.25전쟁 시 UN의 군사적 협조, 전국적인 UN 가입 추진운동 모습을 담고 있다.

영상자막

  • (00:01)This is Seoul, Capital city of Republic of Korea and this is the story of Korean people’s quest for their rightful place in the world’s family of free nations.
    이곳은 서울, 대한민국의 수도이다. 그리고 이것은 자유주의 국가 연합 가입을 염원하는 한국인들의 외침에 관한 이야기이다.
    
    Although historically, a peace loving people who have never in 4000 years invaded foreign soil the war aggressors have periodically peirced the air of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4000년간 타국을 침략한 적이 없는 한국은 평화를 사랑하는 나라로 불린다. 그러나 침략자들이 이 조용한 아침의 나라의 적막을 계속 깨뜨려 왔다.
    
    Shortly after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Korea was annexed and colonized by the japanese.
    20세기를 맞이한 한국은 일본에 합병되어 식민지로 전락했다.
    
    Approximately four decades later, in 1945, Liberation came with the defeat of the Japanese by the Allies.
    합병 후 약 40년이 지난 1945년, 연합군에 의해 일본이 패배하며 한국은 자유를 맞이한다. 
    
    A Thankful nation moved out of the darkness of oppression.
    한국인들은 흑암 같은 억압에서 벗어난 것을 감사했다.
    
    (00:53)Once again, the Korean people could lift their heads and view with pride the cultural and architectural achievements of a glorious past and face with eagerness the task of building a new modern nation.
    다시 고개를 들어 영광스러운 과거의 문화적, 건축적 성과를 자랑스럽게 바라보았고 새로운 현대 국가를 건설할 꿈을 안고 있었다. 
    
    And the farmers continued to move to the cities. In the cities, the Korean people faced the more serious task of keeping into motion the wheels of industry.
    농민들은 도시로 이동을 계속했고, 한국의 도시는 산업 발전이라는 거대한 과제에 맞닥뜨렸다. 
    
    The ill-advised Potsdam Agrement had divided the industrial north from the agricultural south.
    경솔한 포츠담 협약으로 인해 남북이 산업 국가와 농업 국가로 나뉘었다.
    
    Hence, the most important task(problem) facing the Korean people was that of unifying their nation.
    따라서 한국인들의 가장 큰 과제는 바로 국가 통일이었다.
    
    (01:28)On November 14, 1947,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ved to hold a general election in Korea and subsequently sent a UN Commission to Korea to supervise it.
    1947년 11월 14일, 유엔 총회는 한국의 총선을 결의했다. 관리를 맡은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이 한국으로 파견되었다.
    
    Although strongly supported by both the UN and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and South Korea the Commissions mandates to carry out a free election in North Korea were rejected by the Soviet Union.
    유엔과 미국 군 정부, 남한은 강력히 찬성했으나 소련은 북한의 자유선거를 반대했다.
    
    On May 16, 1948, under the UN commission’s observation, the South Korean people went to the poles and freely made their choices.
    1948년 5월 16일에 유엔 위원회의 감시 하에 남한은 자유선거를 실시했다.
    
    In a democratic manner, a national assembly was born.
    민주적 절차로 제헌 국회가 탄생하였다.
    
    A constitution, prolongated and the president, elected.
    헌법이 공포되고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On August 15th of that year, Dr. Syngman Rhee became Korea’s first president and it was proudly proclaimed to all the world that the sovereign nation of Korea was born. 
    그 해 8월 15일, 이승만 박사가 한국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한국이 주권국가로 출범한 사실이 전 세계에 자랑스럽게 선포되었다.
    
    (02:38)Recognized by the UN as the only legal government in Korea, Born under the auspices of the UN, Korea logically and legally proposed that it be admitted as a member nation of the United Nations. 
    유엔에 의해 한국의 유일한 합법적 정부로 인정받았고, 유엔의 원조 하에 탄생한 남한 정부는 논리적이고 합법적으로 유엔 회원국 가입을 신청하였다. 
    
    But, as the whole world knows, in spited of majority support, Korea’s proposition was rejected by Soviet Russia’s veto in the Security Council.
    그러나 대부분이 아는 대로 다수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유엔 안보리에서 소련이 거부권을 행사하며 가입이 무산되었다.
    
    Although deeply disappointed, Korea’s citizens could still enjoy their newly hwan freedom.
    극도로 좌절했지만 한국인들은 여전히 새로 주어진 자유를 누릴 수 있었다.
    
    The necessities of life were available in the markets and their industrial mills were producing at near capacity.
    시장에서는 생필품을 판매했고 공장은 최대로 가동되었다.
    
    (03:20)Then June 25, 1950, North Korean puppet army suddenly invaded south korea.
    이후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이 남한을 급습했다.
    
    Upon receiving this news through the UN Commission in Korea, the Security Council met in an emergency session an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he world organization, dispatched a police force to the battle area.
    유엔한국위원단을 통해 이 소식을 전해 듣고 유엔 안보리는 긴급회의를 소집했다. 그리고 역사상 최초로 안보리가 전투 지역에 전투경찰을 파견했다.
    
    Soon the crusader for justice arrived at korean ports. 
    곧 이 정의를 구현하는 경찰들이 한국 항구에 도착하였다.
    
    Soldiers form 15 nations serving under the UN flag came to korea to defend this UN-born country from aggression.
    15개국의 군인들이 유엔이 탄생시킨 이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유엔의 깃발 아래 파견되었다. 
    
    The crucial phase for Koreans and UN forces came when the Chinese Communist Army joined to the North Koreans to beat back the counterattack of UN Forces, There upon Communist China’s refusal of the UN’s request of withdrawal their armies off Korean soil The UN General Assembly rightfully, labeled the Chinese as agreessors.
    중국 공산군이 북한군에 합류하여 유엔군의 반격에 대항하며 한국군과 유엔군이 고비를 맞았다. 또한 중국 공산군이 유엔의 한국 철수 요구를 거절하자 유엔 총회는 공식적으로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하였다.
    
    Later, when the UN forces forged across the 38 Parallel, the Truce was signed on July 27, 1953
    이후 유엔 연합군이 38선을 넘어선 뒤 1953년 7월 27일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The gratitude of the korean people to the UN Forces who saved the nation from the aggressors was beyond expression. 
    한국인들은 조국을 침략자로부터 구해준 유엔군에게 무척 감사해했다.
    
    Each year, United Nations Day is celebrated in this peninsular nation.
    현재 이 반도 국가에서는 매년 유엔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
    
    The price of was came high, however, More than 100,000 foreign youth had gave their lives and their bodies were laid to rest in this far-off land.
    그러나 전쟁의 대가는 참혹했다. 10만 명이 넘는 외국 장병들이 사망했고 그 시신이 이 먼 타국 땅에 묻혔다.
    
    But, as the whole world knows, in spited of majority support, Korea’s proposition was rejected by Soviet Russia’s veto in the Security Council.
    전쟁은 중단되었으나 한 국가를 이루는 매우 상호 의존적인 두 지역은 여전히 분단 상태였다. 
    
    And in the wake of war, tens of thousands of houses, factories and public buildings were destroyed and damaged.
    또 전쟁으로 인해 수만 채의 집과 공장, 공공건물이 파손되었다.
    
    Their total lost value was estimated in hundreds of billions of Hwan.
    총 손해액이 수천억 환으로 추정되었다.
    
    (05:02)In the meantime, even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war, the United Nations had started the wheels in motion for the rehabilitation of Korea,establishing by resolution of the general Assembly the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한편 전쟁 초기부터 유엔은 한국 땅 재건을 시작했고 유엔 총회의 결의안에 따라 유엔한국재건단이 수립되었다.
    
    In the years that followed, more than 140 million dollars were made available to the Agency and Its efforts have been a key contribution toward the growing self-sufficiency of the Korean Nation.
    이후 수년간 재건단에 1억 4천 달러 이상이 모였다. 재건단의 노력 덕분에 한국의 자급자족 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다.
    
    Thanks to UNKRA, factory smoke stacks were puffing again, and vitally needed schools, hospitals and homes were available for the Korean people.
    또한 공장의 굴뚝이 다시 연기를 내뿜었고, 한국인들은 삶에 필수적인 학교, 병원, 주택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There were other UN organizations too which helped in the rehabilitation of this war-torn country.
    다른 유엔 기구들도 전쟁으로 황폐화된 이 국가의 재건을 도왔다. 
    
    Both UNICEF and UNESCO has played a remarkable role in the post-war life of the Korean people.
    유니세프와 유네스코 모두 한국인들의 전후 생활에 크게 기여했다.
    
    (06:09)Meanwhile, the desire of the Korean people to speak for themselves in the United Nations grew steadily stronger.
    한편 유엔에서 발언권을 얻고자 하는 한국인들의 바람은 커져만 갔다.
    
    Everywhere in Korea, whenever groups met, Soviet Russia was denounced for vetoing in the Security Council, Koreas request for membership in the United nations.
    한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모이는 곳마다 안보리에서 한국의 유엔 가입을 거부한 소련을 비난했다.
    
    These were the articulate voices of free democracy. 
    자유민주주의를 향한 분명한 목소리였다. 
    
    In accord with the expressed wishes of the people, A NATIONAL COMMITTEE FOR UN MEMBERSHIP established headquarters in Seoul. 
    국민의 뜻에 따라 유엔 가입 추진 위원회가 서울에 본부를 설치했다.
    
    Committee membership was comprised of leading Korean citizens from every walk  of national life.
    위원회는 모든 면에서 국민의 생활을 주도하는 저명인사들로 이루어졌다.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task, local committee were formed in every province of the nation.
    과제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민들은 여러 지역에서 지역 위원회를 수립했다.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Mr. Byung Jik Lim, Korea’s UN Ambassador visited his homeland, talked with the people and returned to his post with his convictions reaffirmed and his duty clear.
    이 무렵에 유엔 주재 한국 대사 임병직 씨가 고국을 방문했다. 그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눈 뒤 강한 신념과 명확한 임무를 가지고 돌아갔다.
    
    (07:56)Soon after its organization, the Committee for UN Membership spearheaded a movement designed to accurately reflect the Korean peoples deep desire to have their country taken its rightful place as a member nation of the United Nations.
    유엔 가입 추진 위원회는 수립 직후 한국인들의 강렬한 유엔 가입 열망을 제대로 반영하기 위한 운동을 주도했다.
    
    From every village and city, from offices, schools, factories and farms, approximately 10 million people placed their signatures on documents calling for UN Membership for Koreas
    각 마을과 도시의 회사, 학교, 공장, 농장에서 약 천만 명이 한국의 유엔 가입 요청서에 서명했다.
    
    Recently, when a Korea Delegation left for the World United Nations Association Conference at Geneva,
    최근에는 한국 대표단이 제네바 정치회담을 위해 출국했다.
    
    They carried their messages to the Chief Executives of every nation, asking for their cooperation in helping to obtain for Korea, its place in the UN Organization.
    한국 대표단은 각국 수뇌부에게 한국의 유엔 가입 협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하려 한다.
    
    They also took with them the hopes and aspirations of  thirty million freedom loving Korean people.
    또한 이들은 자유를 사랑하는 3천만 한국인들의 희망과 염원을 담아갔다.
    
    The membership be denied to a nation born under UN auspices, survived aggression through collective UN military action and help of UN to regain its cultural and economic life.
     ‘유엔의 지원 하에 탄생하고, 유엔군의 협력으로 침략을 견뎌내고, 유엔의 원조로 문화 및 경제적 삶이 회복된 국가의 유엔 가입이 거절될 수는 없다.’
    
    The Korean people sincerely believe that their nation can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as a member nation of the United Nations.
    한국인들은 자신의 조국이 유엔의 회원국으로서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강하게 믿고 있다.

관련 기록물

35208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2동
© National Archives of Korea.

국가기록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