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소중한 기록유산 국가지정기록물

‘조선의 마지막 무동(舞童)’이 남긴 전통예술의 보고(寶庫) 제10호 심소 김천흥 전통예술 관련 기록물

최해리((사)한국춤문화자료원 이사장)

개요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1909~2007)은 평생을 전통예술의 전승과 복원이라는 일념으로 살았던 예술인이었다. 심소는 14세가 되던 1922년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의 2기생으로 입소하여 조선 왕실의 이수경(李壽卿: 거문고 전공), 함화진(咸和鎭: 거문고 전공), 김영제(金寧濟: 가야금 전공), 박덕현(朴德鉉: 문묘악 전공), 안덕수(安德秀: 생황 전공) 등으로부터 궁중의 음악이론과 각종 무악(舞樂)을 익혔다. 1923년에는 순종(純宗)의 50세 생신을 축하하는 연희에서 춤을 추었는데, 이를 계기로 그를 ‘조선의 마지막 무동(舞童)’이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이왕직아악부원으로 활동하던 심소는 궁중무악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가(正歌)의 대가 하규일(河圭一), 민속춤의 대가 한성준(韓成俊)과 교분을 나누며 궁중예술과 민속예술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신의 예술세계를 확장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전통예술의 현대적 전승에 일찌감치 눈을 뜬 심소는 이화여전 출강을 시작으로 하여 90수를 넘어서까지 여러 대학에 출강하며 학생들을 지도하였고, 전통예술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해 거액의 장학금을 희사하기도 하였다.

김천흥 전통예술 관련 기록물의 의미

춘앵전 의상과 공연 모습(1991년)
춘앵전 의상과 공연 모습(1991년)

악가무(樂歌舞)에 능했던 심소는 1950년대 후반에 전국 각지를 돌며 전통춤과 연희를 발굴하였고, 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해 여러 편의 조사보고서를 남겼다.

또한, 이왕직아악부의 후신으로 국립국악원이 개원하자 궁중무용의 맥락을 잇기 위해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시절에 익힌 춤과 옛 문헌에 의거하여 『봉래의』 , 『보상무』 , 『박접무』 , 『무산향』 등 40여 종의 궁중무용을 복원하였다.

창작춤에도 큰 관심을 가졌던 심소는 무용극 『처용랑』 (1959), 『만파식적』 (1969)을 안무하여 전통예술의 재창조를 위한 초석을 세웠다. 향년 99세로 영면하기 직전까지 국립국악원의 원로사범,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과 제39호 『처용무』 의 예능보유자로 활동하며 전통예술의 보존과 더불어 살아있는 전통을 발전시키기 위해 헌신하였다.

심소의 사후에 유족과 제자들은 그가 남긴 자료를 (사)한국춤문화자료원에 기증하였다.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은 심소의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를 디지털아카이브로 구축하였다. 국가기록원은 2013년에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아카이브에 의거하여 심소의 자료를 국가기록물 제10호로 지정하였다.

관련 자료들은 2015년 국가적인 보존 지원을 바탕으로 유족과 제자들로 구성된 ‘심소 김천흥 무악예술보존회’에 반환되어 관리되고 있다.

김천흥 전통예술 관련 기록물에는 심소가 문예인들에게 받은 그림과 서예 작품, 생전에 착용했던 궁중무용 『춘앵전』 과 살풀이춤 의상, 육필 원고, 대본과 무보, 팸플릿과 포스터, 기록사진, 신문기사, 영상자료, 서신 등 약 2,400점이 있다. 이 기록물은 세기의 예술인이었던 심소 김천흥 선생의 삶과 예술 세계가 생생하게 묻어나는 방대한 창고(倉庫)이다.

나아가 한 개인의 예술사적 성과를 넘어 한국 근현대예술사(史)의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소중한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전통무용의 복원과 대중화

1)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영대회 발표 작품 〈하회가면무용극〉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팸플릿(1959년)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팸플릿(1959년)

1958년 8월 건국 10주년을 기념하여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현, 한국민속예술축제)가 개최되었다. 이를 계기로 단절과 소멸의 위기에 놓였던 향토예술이 대거 발굴, 재현되었다.

이후 학계에서는 가면극과 민속놀이를 비롯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고, 예술계에서는 전통예술의 재인식 및 재창조라는 화두가 대두되었다.

특히, 1962년 『문화재보호법』 이 제정·공포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수상작들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고 보존 및 전승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민속극 부문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던 종목은 경북지역의〈하회별신가면무용극〉(현, 안동하회별신굿)이었다. 이듬해인 1959년에 〈하회별신가면무용극〉을 재현했던 무용가 윤석운은 시공관에서 대한민속예술부흥동호인회 명의로 ‘민속예술부흥운동 제1회 작품발표회’를 개최하였다.

김천흥이 소장했던 이 공연의 팸플릿 자료에는 궁중무용 전문가로 알려진 김천흥이〈강강수월래〉를, 김보남이〈농악〉을 지도한 것으로 나와 있어 이채롭다.

2) 제2회 김천흥 한국무용발표회 〈처용랑〉 팸플릿

제2회 김천흥 한국무용발표회 처용랑 팸플릿(1959년)
제2회 김천흥 한국무용발표회 처용랑 팸플릿(1959년)

김천흥은 본격적인 궁중무용 복원에 앞서서 전통춤의 대중화를 위하여 창작무용극 제작에 나섰는데, 〈처용랑〉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처용랑〉은 궁중무용 〈처용무〉와 『삼국유사』의 처용설화에 바탕을 두고, 40여 분의 길이로 3막 5장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당시의 무용공연은 창작이라도 기존 음악을 편집해서 쓰는 것이 관행이었으나, 김천흥은 김기수에게 작곡을 의뢰하여 창작음악을 사용하였다.

초연은 ‘제2회 김천흥 한국무용발표회’(1959년 12월 6~7일, 시공관)에서 이루어졌으며, 김기수의 지휘로 국악관현악단 해경악회(海警樂會)가 반주하였다.

〈처용랑〉은 전통예술의 재창조 작업에 신기원을 마련했다는 호평을 받았으며, 김천흥은 이 공로로 1960년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김천흥은〈처용랑〉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공연기록에 이르기까지 대본, 무보, 악보, 사진, 신문기사 등 수십 점의 관련 기록물을 남겼다. 이 기록들을 바탕으로 초연 53년 만인 2012년 ‘심소 김천흥 선생 추모 5주기 문화제’를 통해〈처용랑〉의 일부가 재현될 수 있었다.

3)삼천리가무단(Sahm-Chun-Li Dancers and Musicians) 팸플릿

삼천리가무단 화회별신가면무용극(1964년)
삼천리가무단 화회별신가면무용극(1964년)

삼천리가무단(三千里歌舞團)은 1964년 미국인 앨런 헤이만(Alan C. Heyman)이 한국 전통예술인들의 해외공연을 위해 조직했던 단체이다.

음악학도 출신이었던 헤이만은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국악에 매료되어 한국으로 귀화했던 인물이며, 한국 이름은 해의만(海義滿)이다. 해의만은 당시 아시아의 문화를 미국에 전파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던 아시아소사여티(Asia Society)의 초청으로 삼천리가무단을 이끌고 약 100일 간 뉴욕의 링컨센터를 비롯하여 미국의 20여 개 도시에서 30여 차례에 걸쳐 공연하였다.

삼천리가무단은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구미(歐美)에 첫 번째로 진출했던 전통예술 민간공연단체이며, 공연과 병행했던 강연 및 시범공연은 미국인들이 한국의 전통예술을 새롭게 인식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삼천리가무단 단원은 총 14명이었으며, 이 중 궁중무용의 김천흥, 민속춤의 한영숙, 사찰무용의 임준동, 거문고의 신쾌동, 피리의 김태섭, 농악의 전사섭, 정오동 등은 모두 명인명창으로 활약하였다. 위의 삼천리가무단의 팸플릿은 1964년 3월 12일 미국 샌디에고의 루스극장(Russ Auditorium)의 공연 자료이다.

4) 〈종묘제례악〉 일무(佾舞) 공연

종묘제례악 일무(佾舞)(1945년 경)
종묘제례악 일무(佾舞)(1945년 경)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아악부원양성소(雅樂部員養成所)는 조선시대의 궁중무악을 전승·연주하기 위해 1917년 세워진 음악기관이었다. 양성소 학생들의 필수과목 중에 왕실의 제사의식에서 사용되는〈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과 유교의 제사의식에서 사용되는〈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이 있었다.

1922년 아악부원양성소의 2기생으로 입소했던 김천흥은 훗날 회고록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무악(舞樂) 칠십년(七十年)』(1995년, 민속원)을 통해 어린 나이에 종묘악(宗廟樂)과 문묘악(文廟樂)의 이론과 여러 악기들의 연주, 그리고 춤인 일무(佾舞)를 익히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술회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이왕직아악부와 아악부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종묘제례악〉은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고, 김천흥은 1968년〈종묘제례악〉해금 부문의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10년에는 유네스코의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어 세계무형유산으로 보호받게 되었다.

그가 소장하고 있던〈종묘제례악〉의 일무(佾舞) 사진 2점은 1966년 『종묘제례악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작성 당시에 입수한 것으로 보여진다. 촬영 장소는 종묘(宗廟)의 공신당(功臣堂) 앞이며, 현재의 일무는 8일무(64명)이지만, 사진 속의 일무는 6일무(36명)로 연출되었다.

5) 민속탈의 복원

복원된 민속탈
복원된 민속탈

1958년 제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가 끝나고 국악과 무용 분야의 김천흥, 성경린, 이주환, 최현, 국문학자 이두현, 민속학자 임석재, 연극연출가 유치진, 미술가 최만린 등은 전통 가면극 연구에 대한 뜻을 모으고 ‘한국가면극보존회’를 발족하였다.

이들은 전통 가면극을 위한 5개년 연구사업계획을 세우고 국립국악원과 아세아재단(亞細亞財團)의 후원으로 가면극의 대사 채록 및 정리, 탈의 원형 제작, 실기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이 사업을 통해 황해도 〈봉산탈춤〉, 경북 〈안동하회탈놀이〉, 경기도 〈양주별산대놀이〉, 경남 〈통영광대놀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쌓였으며,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받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김천흥은 『심소(心韶) 김천흥(金千興) 무악(舞樂) 칠십년(七十年)』 에서 한국가면극보존회의 활동에 대해 당시의 탈춤에 대한 조사와 탈 제작 경험이 연구 역량과 예술적 시야를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회고하였다.

6) 제1회 김천흥무용발표회의 공연 사진

제1회 김천흥무용발표회(1956년)
제1회 김천흥무용발표회(1956년)

김천흥은 6.25전쟁 때 부산에서 2년 동안 구황궁 아악부 활동을 하였으며, 창신유치원, 서울사대부속고등학교 등에서 무용을 지도하였다. 그리고 1951년 아악부가 국립국악원으로 개원하면서 국악원 주최의 일반인들을 위한 무용 강습도 병행하였다. 당시 무용 강습 의뢰가 쇄도하여 고려무용연구소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후 1955년 ‘김천흥고전무용연구소’를 개소하고 1978년까지 운영하였다. 김천흥은 무용연구소를 운영하면서 문하생들의 기량 향상과 사기 진작을 위해 정기적으로 무용발표회를 개최하였다. 위의 사진은 1956년 제1회 김천흥무용발표회(1956년 7월 3~4일, 시립극장)에서 〈가면무〉를 추는 김천흥과 〈농악무〉를 추는 문하생들의 모습이다.

김천흥은 이러한 발표회를 통해 창작 작품과 재해석된 전통무용을 공연무대에 올렸다. 피난 시절에 겪었던 일상과 자연을 주제로 한 〈허수아비〉, 〈어부일기〉, 〈농촌풍경〉과 궁중무, 민속무, 사찰무 등의 전통무용 형태와 구성을 다변화하면서 새롭게 개발하여 무대용 무용으로 재창조하였다.

7) 조선의 궁중음악과 궁중무용 〈조선무악(朝鮮舞樂)〉

조선무악(1931년)
조선무악(1931년)

〈조선무악〉은 1931년 조선총독부에서 촬영한 기록영상으로, 일제강점기의 궁중 전경과 나인들, 그리고 궁중무악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1931년 7월 5일자 『매일신보』에 따르면 이 영상은 “이왕(李王) 전하의 분부로 5백 년 간 이왕가에서 이어져 내려 온 고전무용을 영화로 촬영한 것”이며, 창덕궁에서 촬영했으며, 이왕직아악부 소속 총 85명의 악사(樂士)와 무원(舞員)이 출연하였다고 한다.

영상은 2편으로 제작되었으며, 1편에는 〈봉래의〉, 〈보상무〉, 〈무고〉, 〈장생보연지무〉, 〈포구락〉이, 2편에는〈향령무〉와〈처용무〉가 수록되어 있다. 흑백무성필름으로 제작되었으며 복원 및 재생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봉래의〉와 〈무고〉에서 무원으로 출연했던 김천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8) 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처용무(1972년)
처용무(1972년)

〈처용무〉는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다. 1972년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은〈처용무〉를 영상으로 제작하였으며, 이 영상에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의 예능보유자, 복식, 악기 편성, 동작과 순서 등이 잘 기록되어 있다.

감수는 당시 문화재위원이었던 김천흥이 맡았다. 김천흥은〈처용무〉의 무용 부문 예능보유자이기도 하여 이 영상에서 매우 비중 있게 등장한다. 이 외에도〈처용무〉의 예능보유자 1세대였던 김기수, 김룡, 김태섭, 봉해룡이 출연한다.

예능보유자들은 궁중무용의 정취를 살리기 위해〈처용무〉를 경복궁에서 실연하였으며, 대중영화 전문 촬영감독이 다큐멘터리 기법으로 촬영하였다는 점이 이채롭다.

9) 김천흥 신작무용발표회 문교부 허가대본

김천흥 신작무용발표회 〈처용무〉문교부허가 대본(1959년)
김천흥 신작무용발표회 〈처용무〉
문교부허가 대본(1959년)
김천흥 신작무용발표회 〈처용무〉문교부허가 대본(1959년)
김천흥 신작무용발표회 〈처용무〉
문교부허가 대본(1959년)

1956년 7월 『공연물허가규준』 이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공연물은 대본과 상연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 공연물심의위원회로부터 심사를 받고 상연허가증을 받아야 했다. 무용 공연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대본 외에 무보, 악보, 출연자 및 스탭 명단 등 오히려 다른 공연물에 비해 더 많은 자료가 필요했다.

김천흥은 1959년 제2회 무용발표회를 앞두고 문교부에 신작 〈처용랑〉의 무용상연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제1회 발표회의 심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김천흥은 인가를 쉽게 받기 위한 방편으로 공연 주최를 대한민속예술원으로 하였고, 한국무용협회와 동아일보사로부터 후원 명칭을 얻었다. 그리고 신청서는 자유당 국회의원이자 대한민속예술원 원장을 지냈던 이존화의 이름으로 제출하였다.

이 자료에는 당시 문교부의 검인이 찍혀 있으며, 김천흥이 수기(手記)로 쓴 공연의 기획의도, 대본 및 무보 등을 볼 수 있다.

전통무용의 복원과 대중화

『한국무용기본도보』(1954년)
『한국무용기본도보』(1954년)

김천흥은 1939년부터 이화여전을 시작으로 교육의 일선에 나섰다. 그 때부터 배우는 사람들이 춤을 쉽게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심하게 되었다. 그는 춤의 기본동작을 그림으로 그려 무보(舞譜)책을 만들면 교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춤의 대중 보급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하였다.

김천흥은 이를 위해 조선시대의 무보(舞譜)였던 『시용무보(時用舞譜)』를 참조하여 『한국무용기본도보(韓國舞踊基本圖譜)』를 편찬하였다.

김천흥은 1954년 원고를 완성하였으나 마땅한 출판사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다가 1969년 문화재관리국의 지원으로 출판할 수 있었다.

이 도서는 1950년대 성행했던 한국 무용의 기본과 춤 동작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장단과 동작 스케치에 쉬운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 김천흥의 무보(舞譜) 작성방식은 한국무용기록사(史)에 전환점이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록물 소장처: 심소 김천흥 무악예술보존회
※ 집필 내용은 국가기록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