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수많은 그들이 들려주는 그해 오월 이야기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는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 특별전 개최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시를 5월 13일(수)부터 10월 31일(토)까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개최하고 있다.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방침에 따라 5월 30일부터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휴관하여 한시적으로 전시가 중단된 상황임
이번 특별전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 5·18기념재단(이사장 이철우), 5·18민주화운동기록관(관장 정용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소장 최정기),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주진오)이 공동으로 주최한다.
5·18민주화운동은 40년이 지난 오늘에도 광주 지역을 제외하고는 정작 제대로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번 전시는 그해 오월의 한 복판에서 이를 경험하고, 목격하고, 알린 사람들의 기록과 당시 그들을 탄압했던 정부와 군의 기록을 살펴봄으로써 5·18민주화운동이 한국 현대사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조명해보고자 기획되었다.
특히, 시민들이 남긴 기록으로, 광주를 떠난 적이 없었던 자료가 서울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당시 초등학생·고등학생·대학생· 목사·주부 등 광주 시민들이 뜨거운 심장으로 당시의 상황을 써내려갔던 일기 15점과, 당시에는 언론 탄압으로 기사화되지 못했던 기자들이 남긴 취재수첩과 메모 5점이 전시되었다. 또한, 당시 정부기록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전개부터 이후 명예회복까지 정부 시각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특별전시는 크게 4개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3층 기획전시실에서 펼쳐지는 ‘오월 그날이 다시 오면’에서는 다양한 기록물과 실물자료를 통해 40년 전 그 오월에 저마다의 자리에서 광주를 목격하고, 지키고, 알리려 애썼던 이들의 뜨거운 이야기를 전한다.
1980년 5월 17일부터 27일까지 열흘 동안 광주에서 일어난 일들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5.18 이전의 사회정치적 상황과 5.18 이후 진상을 알리고 규명하기 위한 숱한 노력들까지 한눈에 짚어본다.
이번 전시에서 공개되는 핵심 자료는 사람들이 남긴 기록이다. 수십 년 동안 꺼내지 못하고 서랍 속에 간직해 온 일기, 믿을 수 없는 광경을 취재했던 기자들의 취재수첩과 사진, 친지의 안부를 묻는 편지, 5.18 진상 규명을 위한 인터뷰 기록들, 그리고 광주시민에게 보내는 위로의 시와 작품 등 다양한 자료들이 오월의 고통과 충격을 증언한다.
1층 기획전시실에서는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5·18민주화운동 관련 대표적인 정부기록물로 이루어진 ‘정부기록 속의 5·18’ 전시가 6월 7일까지 이루어졌다.
국방부와 광주 동구청에서 생산한 상황일지를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각 날짜별로 재구성하여 당시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수습상황보고, 피해신고접수상황 등 세계기록유산 10여점이 최초로 원본 전시되며, 국군기무사령부가 앨범으로 정리·보관하고 있었던 당시 사진집도 일반 국민에게 공개된다.
그리고 박물관 외부 역사회랑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당시 사진을 비롯한 미디어 콘텐츠를 선보였으며, 역사마당에는 최평곤 조각 설치작가가 제작한 평화의 메시지와 위로를 건네는 작품을 전시하였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주진오 관장은 “서울에서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 대규모의 전시가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감회가 남다른 한편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이 전시를 통해 5·18민주화운동이 광주의 역사만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역사라는 것을 온 국민이 공감하길 바란다”면서 이번 전시의 의미를 강조했다.
국가기록원 이소연 원장은 “40년 만에 처음으로 서울에서 개최되는 5·18민주화운동 특별전을 통해 우리 국민들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남겨진 기록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의 진실에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특별전의 의미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