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청사(광화문)치안시설·전매시설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

일제 강점기 경찰교육기관이었던 경관연습소는 1910년 6월 24일 ‘한국의 경찰사무위탁에 관한 각서’에 의해 일제가 경찰권을 장악하면서 경무총감부(警務摠監部) 산하의 기관으로 운영되었으며, 북부(北部) 창성동(昌成洞)에 있다가 1917년 11월 5일 광화문통(光化門通)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1919년 헌병경찰제가 보통경찰제로 바뀌면서 경관연습소는 조선총독부 직속기관인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로 개편되었고, 지방에는 순사교습소가 설치되었다.

국가기록원에는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와 관련된 총 106매의 도면이 있으며, 이는 크게 중앙의 경찰관강습소와 지방의 순사교습소의 도면으로 구분된다. 경찰관강습소 도면으로는 그 모체가 되는 한일병합 이전의 통감부 순사교습소의 도면 4매, 1910년대 경관연습소의 도면 7매가 있고, 1920년 이후 설치되는 경찰관강습소의 도면 70매가 소장되었다. 지방의 순사교습소로는 서울에 있던 경기도 순사교습소 1매, 충청남도 순사교습소 및 순사보교습소 18매, 충청북도 순사교습소 2매, 평안북도 순사교습소 3매가 있다.

순사 교습소
명칭 연도 도면수
통감부 순사교습소 1906~10 4
경무총감부 경관연습소 1910~19 8
조선총독부 경찰관강습소 1920~45 70
경기도 순사교습소 1920~45 1
충청남도 순사교습소, 순사보교습소 1920~45 18
충청북도 순사교습소 1919~45 2
평안북도 순사교습소 1920~45 3

먼저, 1910년 이전 통감부 순사교습소 당시의 현황은 도면의 부족으로 전모를 알기는 어렵다. 다만, [도판1]을 통해 당시 사용되었던 교실을 볼 수 있는데, 건물은 양식 목조 2층으로, 벽체는 영국식비늘판벽으로 마감되었다. 1910년 이후 창성동에서 운영되던 시기의 모습은 [도판2]를 통해 엿볼 수 있다.[도판2]는 교실을 증축하기 위한 설계도로 기재된 배치도를 보면, 남동쪽으로 정문이 있고 부지 중앙에 청사가 배치되었으며, 청사 동쪽으로 교실을 새로 계획하였다. 이후, 1917년 11월 광화문통(光化門通)으로 이전하게 되는데 이전 후의 모습을 1918년 5월에 작성된 [도판3][도판4]에서 일부 확인할 수 있다. 이 도면은 조선인 숙사를 짓기 위한 도면으로 전체 부지 남쪽의 일부가 기재되었다. 조선인 숙사는 부지 동쪽 끝에 계획되었는데, 기존의 한옥 회랑 건물을 수선하여 활용하였으며, 내부는 간단한 다다미방과 각 방의 진입을 위한 문간으로 구성되었다.[도판4]는 북서쪽 부분의 기숙사와 격검장(擊劍場) 및 건물의 부분적인 배치를 보여주며, 기숙사가 병렬 배치된 부분의 북쪽 2 동의 숙사를 수선하는 공사 계획이 기재되었다.

이후, 광화문통 동편 82번지 일대에 있었던 경찰관강습소의 1922년 당시의 전체 배치 현황은 [도판5]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경찰관강습소로 바뀌기 이전 경관연습소 시절의 모습은[도판6]에 나타난 ‘재래청사’의 표기를 통해 청사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1922년과 같은 모습이 되기까지는 여러 차례의 이축과 개축 계획이 진행되었는데, 몇 장의 도판을 통해 1920년에서 22년까지의 경찰강습소의 건물 배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청사와 기숙사에 부속되었던 일부 건물이 먼저 철거되었고, 숙사 동쪽에 있었던 연무장을 청사 동쪽으로 이축하고, 청사 북쪽에 새로운 교실을 계획하였으며,([도판7], [도판8] 참조) 이후 기존의 숙사 위치에 남북향으로 3동의 기숙사가 신축되고,([도판9] 참조) 기숙사가 완공된 뒤 구 강당과 재래 한식 건물 위치에 새로운 식당 건물이 기숙사와 연결되어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도판4], [도판10)]참조)

한편, 경찰교육시설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건축물로 연무장 또는 무도장이라 불리던 체육 시설을 들 수 있다. [도판11]을 통해 1918년 5월에 작성된 경관연습소의 연무장 증축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건물을 전후로 각 6척(尺)(약 1.82m) 확장하였으며, 건물 내부는 왼편의 유도장(柔道場)과 오른 편의 격검장(擊劍場)으로 양분되어 사용되었다. 도장(道場)이 있는 부분 지붕에는 천창을 내어 자연채광을 고려하였다. 건물의 전면과 후면의 중앙에 출입구를 두었고, 생도(生徒)들의 출입구는 뒤쪽 양 끝에 따로 마련되었다. 생도 출입구는 준비실인 사도소(仕度所)와 연결된다. 건물 자체는 양식목조 단층 건물로 외벽은 누름대비늘판벽으로 마감되어 단순한 계획을 보여준다. 이 건물은 [도판7]에서 볼 수 있듯이 청사 동편으로 이축되어 사용되었다.

이 연무장은 이후에 다시 새로운 무도장(武道場)으로 신축되었는데, 그 계획을 [도판12]에서 볼 수 있다. 신축된 무도장 계획은 [도판13]에 나타나 있듯 중심부에 커다란 덧지붕을 두어 매우 웅장한 모습으로 계획되었으며, 양식목조였지만 모르타르로 외벽을 마감하였다. 장변의 중앙에 웅장한 현관이, 현관 안쪽 맞은편 벽에는 대형 감실이 계획되었고, 그 중앙에는 신전(神殿)이 배치되었다. 무도장의 1층은 검도장과 유도장으로 구성되었고, 건물 양끝에는 검도부와 유도부용 현관과 대기실(控室)이 배치되었다. 2층의 양단부에는 다다미를 깔고 지도자들의 대기실인 지범공실(指範控室)로 사용하였다. ([도판14],[도판15] 참조) 지붕의 단면은 [도판16]에 나타나 있는데, 큰 지붕을 구현하기 위해 서양식 트러스와 일본 전통의 목구조를 혼합하여 계획하였으며, 실내에는 반자를 달아 평천장으로 계획하였다.

한편, 각 도에는 순사교습소가 설치되었다. 경기도 순사교습소의 배치는 [도면17]에 잘 나타나 있으며, 광화문통 서편의 광화문통 79번지~81번지 일대로 추정된다. 맨 윗부분의 ‘제공토지 및 건물(提供土地及建物)’부분이 경기도 순사교습소 부분이고, 그 남쪽으로 ‘군사령부부속청사신축부지’, ‘체신국 관리 환의 토지(遞信局ヘ管理換ノ土地)’ 가 위치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부지 내에는 대한제국기의 육조 회랑들이 여전히 그대로 남은 모습도 볼 수 있다.

충청남도 순사교습소의 경우, 1932년 충청남도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도청 청사 인접부지에 순사교습소도 함께 계획하였던 것을 [도판18]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판19]에서는 순사교습소의 정문을 도청과는 별도로 도로 쪽에 설치하였던 것과 도청으로 통하는 남쪽 문을 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충남 순사교습소의 중심 건물은 교실과 숙사가 복도로 연결되어 P자형의 평면을 이루는 단층 목조 건물로 계획되었고 외벽은 모르타르 바름 방식으로 마감되었다. ([도판20] 참조)

충청북도 순사교습소에 관한 도면은 2매가 남았는데, 배치는 [도판21]을 통해 알 수 있다. 주변으로 도청사와 우편국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도심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청사는 복도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교실을, 왼쪽으로 교관실, 합숙실 등으로 구성되었다. 변소는 건물의 뒤쪽에 두었으며 외부복도로 연결하였다. 청사는 단층 양식목조 건물로 계획되었고, 외벽은 누름대 비늘판벽으로 단순하게 마감되었다.([도판22] 참조)

평안북도 순사교습소에 관한 도면은 1923년에 작성된 3매가 남았는데, 배치도는 남지 않았으며 청사의 평면과 단면, 입면 계획을 확인할 도면들이 있다. 청사는 벽돌조 2층 건물로 계획되었다. 청사의 평면은[도판2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건물의 1층은 단일 공간의 숙사로 계획되었고, 오른쪽에 계단실이 배치되었다. 2층에는 사무실과 교실 3실이 계획되었다. 건물의 오른쪽에는 외부 복도로 연결된 단층 ㄱ자 벽돌조 건물이 추가되었는데, 이곳에는 취사장·숙직실·창고·변소 등이 계획되었다. 건물의 곳곳에는 대형 연도와 벽난로·페치카가 설치되어 추운 기후에 지어진 순사교습소 계획을 잘 보여준다. ([도판24],[도판25] 참조)

[참고도판]

  • 도판1. 통감부순사교습소사무실급교실신축단면도 / 2, 1906~09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2. 경관연습소교실증축설계도 / 6, 1910~17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3. 경관연습소선인숙사모양체공사도 / 9, 1918 상세보기
  • 도판4. 경관연습소순사숙사모양체지도 / 8, 1918 상세보기
  • 도판5. 경찰관강습소식당개축모양체기타공사배치도 / 17, 1922 상세보기
  • 도판6. 경찰관강습소취훼건물평면도 / 2, 1920~2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7. 경찰관강습소배치도 / 3, 1920~2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8. 경찰관강습소구내제십호연와창고이축기타공사 / 부이축제16호탕비소평면도, 1920~2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9. 경찰관강습소기숙사신축기타공사배치도 / 부유승상세 / 배수유승상세도, 1920~2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10. 경찰관강습소식당개축모양체기타공사설계도, 192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11. 경관연습소격검장급유도장모양체지도 / 7, 1918 상세보기
  • 도판12. 조선총독부경찰관강습소무도장급수장치공사설계도 / 배치도, 1930~4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13. 조선총독부경찰관공사설계도 / 강습소무도장신축기타 / 자도 / 13매내5, 1930~4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14. 조선총독부경찰관공사설계도 / 강습소무도장신축기타 / 12계평면변경표 / 13매내 2, 1930~4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15. 조선총독부경찰관강습소무도장전기설비공사설계도, 1930~4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16. 조선총독부경찰관공사설계도 / 강습소무도장신축기타 / 일반구계 / 13매내6, 1930~40년대 추정 상세보기
  • 도판17. 경기도순사교습소배치도, 1920년대 초반 추정 상세보기
  • 도판18. 충청남도청순사교습소급수장치공사설계도 / 옥외급수관배관기타도 / 10, 1932 상세보기
  • 도판19. 충청남도청순사교습소신축공사내 표문기타설계변경도 / 표문변경배치도 / 18, 1932 상세보기
  • 도판20. 충청남도청시험실기타신축공사설계도 / 순사교습소 / 건면평면각복기타도 / 6, 1932 상세보기
  • 도판21. 충청북도순사교습소건물배치도 / 2, 1920년대 초중반 추정 상세보기
  • 도판22. 충청북도순사교습소신축공사설계도 / 1, 1920년대 초중반 추정 상세보기
  • 도판23. 평안북도청순사교습소기타신축공사설계도 / 39, 1923 상세보기
  • 도판24. 평안북도청순사교습소기타신축공사설계도 / 48, 1923 상세보기
  • 도판25. 평안북도청순사교습소기타신축공사설계도 / 49, 1923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