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1 | 고요(皐陶) | 순임금의 신하로서 학식과 덕이 높아 규율(법)을 바로 세우는 일을 맡아 하였습니다. 오늘날의 법무부장관과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이상적인 신하를 지칭할 때 많이 언급되곤 합니다. |
2 | 공문 | "공문은 중앙기관에서 사용하는 문서를 뜻하는 것으로서 공문서를 말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카툰 공문서'를 참고하세요" |
3 | 공조(工曹) | 국가의 중요 공사나, 토목, 건축 등의 업무를 담당했던 중앙관청입니다. 조선시대의 제지공장이라 할 수 있는 조지서(造紙署)가 공조 소속으로 존재 했으며, 오늘날의 건설교통부의 역할과 유사합니다. |
4 | "군군 신신 부부 자자(君君, 臣臣, 父父, 子子)" | 공자의 논어에 나오는 경구 로서 "임금은 임금다워야 하고 신하는 신하다워야 하고, 아비는 아비다워야 하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
5 | 대내(大內) | 임금님이 거처하는 곳을 말합니다. |
6 | 대명실록 | 황명실록(皇明實錄) 또는 단순히 명실록(明實錄)이라고도 합니다. 2,909권의 방대한 실록으로 명나라 왕조의 역사가 담겨진 실록입니다. |
7 | 명과학(命課學) | 운명, 길흉 화복을 판단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
8 | 방목 | 가축을 초지(草地)에 놓아 기르는 것을 뜻합니다. |
9 | 봉안(奉安) | 죽은 사람의 위패나 초상화 등 귀중한 것을 받들어 모신다는 뜻입니다 |
10 | 서운관(書雲觀) | 운명, 길흉 화복을 관장하는 관청을 말합니다. |
11 | 선천군 | 평안북도의 서부에 있는 군으로서 남쪽으로 황해를 접하는 지역입니다. |
12 | 성상(聖上) | 살아 있는 자기 나라의 임금을 높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
13 | 수용(睟容) | 왕의 얼굴 그림이나 사진을 뜻합니다(비슷한 말로는 어진이 있습니다) |
14 | 순천부(順天府) 장도(獐島) | 전라도 순천부에 있는 작은 섬으로서 현재 광양만 율촌의 장도지역을 말합니다. |
15 | 신개 |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공조참판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집현전 제학이 되었습니다. 세종 때 전라 · 황해 · 경상 · 경기도의 관찰사를 역임한 후, 형조참판 · 예문관대제학 · 대사헌 · 도총제 등을 거쳐 이조판서로서 북변에 침입이 잦은 야인을 토벌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인재문집》이 있습니다. |
16 | 신정하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705년(숙종 3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 ·부교리(副敎理) 등을 지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서암집(恕菴集)》이 있습니다. |
17 | 예문관 검열 | 조선시대에 예문관에서 사초 꾸미는 일을 맡아 하던 정9품의 벼슬입니다. |
18 | 예조(禮曹) | 조선시대의 6조에 속하는 기관으로서 제사, 학교, 과거시험, 문서, 의식, 예악 등의 일을 담당한 중앙관청입니다. 오늘날의 교육부, 문화관광부와 유사합니다 |
19 | 왕도정치 | 왕도정치란 힘에 의해 정치가 이루어지는 패도정치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인(仁)과 덕(德)을 바탕으로 하는 정치사상을 말합니다. 중국의 유가(儒家)들이 이상(理想)으로 삼았던 정치사상입니다. |
20 | 요(堯)·순(舜) | 요(堯)와 순(舜)은 명군으로 알려진 중국의 신화 속 군주의 이름입니다. 요(堯)와 다음대의 군주인 순(舜) 임금은 함께 성군(聖君)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요순'과 같이 함께 묶어서 불리기도 합니다. 이 말은 주로 뛰어난 군주를 찬양하거나 먼 옛날의 이상적인 군주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
21 | 유네스코 | 정식 명칭은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로서 유네스코(unesco)라고도 합니다. 교육·과학·문화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하여 국가 간의 협력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제연합전문기구입니다. |
22 | 의정부(議政府) | 조선 시대 행정부의 최고 통치 기관으로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이 있어 이들의 합의에 따라 국가 정책을 결정하였으며, 아래에 육조(六曹)를 두어 국가 행정을 집행하도록 하였습니다. |
23 |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 삼대실록(三代實錄)으로도 불리는 일본삼대실록은 나라시대[奈良時代, 710~794]와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1185]에 국가가 편찬한 편년체(編年體) 방식으로 편찬한 역사서입니다. |
24 | 저수량 | 중국 당나라의 서예가로서 우세남(虞世南)·구양순(歐陽詢)과 아울러 초당(初唐) 3대가로 불립니다. 그의 서체는 아름답고 화려한 가운데에도 용필(用筆)에 힘찬 기세와 변화를 담았다고 평가 받고 있습니다. |
25 | 종성(終聲) | 마지막에 나는 소리로서 받침을 달리 이르는 말을 뜻합니다. |
26 | 중성(中聲) | 국어의 음절 구성에서 가운데의 모음으로서 ‘땅’에서의 ‘ㅏ’, ‘들’에서의 ‘ㅡ’ 을 말합니다. |
27 | 청실록 | 청(淸)나라 태조(太祖:누르하치)로부터 광서제(光緖帝)에 이르는 11대 황제의 실록을 말합니다. |
28 | 초성(初聲) | 한 음절에서, 처음으로 나는 소리로서 ‘님’에서 ‘ㄴ’ 을 말합니다. |
29 | 편년체 | 역사 편찬의 한가지 방법으로서 연월일(年月日)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30 | 행재소(行在所) | 임금이 멀리 거동할 때 임시로 머무르는 별궁(別宮)을 뜻합니다. |
31 | 형조(刑曹) | 조선시대 행정실무기관인 6조에 속하는 중앙관청입니다. 조선시대 법률과 민사소송, 노예에 관한 일을 주관했으며 오늘날의 법무부와 유사합니다. (이외에도 6조에는 이조, 호조, 예조, 병조, 공조가 있었습니다) |
32 | 호남 |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아울러 이를때를 뜻합니다. |
33 | 황희 | 고려 말 ·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서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했으나, 이성계의 간청으로 다시 벼슬길에 올라 18년간 영의정에 재임하면서 세종의 가장 신임 받는 재상으로 명성이 높았습니다. 인품이 원만하고 청렴하여 모든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에도 뛰어나 몇 수의 시조 작품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
34 | 훈도 | 조선시대 서울의 4학(四學)과 지방의 향교에서 교육을 담당한 정·종9품의 교관을 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