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청진측후소

청진측후소는 1936년 11월 15일 조선총독부령 제113호에 의하여 조선총독부관측소 청진지소로 함경북도 경성군 용성면에 설치되었다. 1939년 7월 1일에는 조선총독부령 93호에 의하여 조선총독부기상대 청진측후소로 개칭되었고, 함경북도 청진부와 경성군 용성면의 기상 관측을 담당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청진측후소와 관련된 도면 13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청진측후소 소장 목록
명칭 연도 도면수
청진측후소 1939-1945 13

청진측후소는 1939년 7월 1일자로 관립으로 개편되었으나, 실제로는 그 이후에 청사를 신축할 것이라는 기사로 미루어 어느 시점까지는 구 청진지소를 계속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사에 따르면, 청진측후소는 천마산(天馬山)에 1500평의 부지를 선정하고 건평 120평의 건물과 4개동의 숙사를 계획하였다고 한다. 천마산 경사지에 조성된 청진측후소는 사방으로 축대를 쌓아 동서로 긴 부지를 계획하였고, 접근도로가 부지를 휘감고 있다.([도판1] 참조) 측후소 부지는 청사와 부속가 및 창고가 계획된 구역과 우량계실이 계획된 노장(露張)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부지의 남쪽으로부터 계단을 올라 청사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다시 계단을 통하여 노장으로 오를 수 있도록 부지가 조성되었다.

청진측후소의 청사는 관측사무를 위한 2층의 청사건물과 숙직사무를 볼 수 있는 단층의 부속가(附屬家)가 연접하도록 계획되었다.([도판2] 참조) 각각의 건물에는 모르타르 마감이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통일감을 주고 있으나, 청사는 2층의 평지붕인 반면 부속가는 단층의 경사지붕으로 계획되어 확연히 대별되는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청사는 1층 측면의 현관으로 출입하도록 계획되었으며, 중복도를 사이에 두고 위편으로는 기계실, 계단실, 청우계실(晴雨計室), 공작·원박실(工作及原薄室), 변소가 계획되었으며, 아래편으로는 사무실, 카운더대(カウンタ台)가 있는 관측실, 체신국사무실이 계획되어 있다. 체신국사무실은 1941년 1월 16일에 설치된 청진우편국 전신분실(電信分室)의 전신(前身)으로 추정된다. 2층에는 도서관을 계획함과 동시에 2층 지붕으로 올라갈 수 있는 노출계단을 설치하였다. 2층의 지붕에는 각종 기상관측 장비를 위한 노대를 계획하였다. [도판3]의 우측 하단부터 시계방향으로, 풍신기계대(風信器計台)와 풍압계대(風圧計台), 2개의 풍력계대(風力計台) 및 아네모시네모용(アネモシネモ用)을 배치하였다. 각 노대에는 관측용 철관(鐵管)이 4.5척(약1.3m) 또는 4.9척(약1.5m)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데, 풍압계대와 풍신기계대의 철관은 바로 1층까지 도달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반면에, 풍력계대와 아네모시네모용은 옥상 바닥에서 외부로 돌출시켜 풍신기계대 부근에서 하나로 합쳐지도록 계획되었다.

청사는 벽돌조에 콘크리트슬라브가 조합된 구법이 적용되었으며, 평지붕에 효율적인 방수계획을 적용하였다.([도판4] 참조) 1, 2층의 지붕 바닥판에는 구배를 두어 빗물이 물홈통으로 모아져 배출되도록 하였고, 바닥의 방수층은 파라핏을 따라 이어지는데 누름벽돌로 마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층 옥상의 관측기구를 통하여 1층에서 기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철관을 벽돌조 벽체에 매입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도판5]에서는 변소의 유지관리를 위한 시설을 확인할 수 있다. 대변기 하부에 설치된 분뇨통을 실외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덮개를 설치하였고, 분뇨통의 악취가 상시 배출될 수 있도록 환기통을 1층 옥상 높이까지 인출시켜 두었다. 한편, [도판6]에서는 청우계실에 설치된 기상관측용 기압을 측정 장비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청사 현관의 반대편에는 연접한 부속가로 직접 진입하도록 계획되었다.([도판2] 참조) 부속가는 소변실, 숙직실, 숙사, 욕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사와 달리 일본식 지붕틀을 적용한 목조건축물로 계획되었으며, 휘어진 대들보 두 개를 이어서 지붕틀로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도판7] 참조)

청사와 구분된 노장(露場)에는 지하에 우량계실이 계획되었다.([도판8] 참조) 내부는 방수모르타르로 마감하였고 내부 공기는 상부의 환기구를 통해 외부와 순환하도록 하였다. 우수(雨水)는 지면 부근에서 채집하여 지하의 우량계실로 직접 옮겨져 측정될 수 있도록 수집통을 노출시키고 우량계실 내부에 배관과 자기대(自記台)를 설치하였다.

[참고도판]

  • 도판1.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배치도 / 1,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2.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2,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3.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6,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4.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3,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5.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5,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6.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4,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7.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8,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8. 청진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9, 1939-41년 추정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