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48년
- 8월 15일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식
- 10월 9일양곡매입법 공포
- 12월 8일한미원조협정 체결
1949년
- 1월 1일산업개발 철도 및 철도망 건설계획 수립
- 2월 25일원조물자대금 취급규정 공포
- 4월 23일한일 통상협정 조인
- 6월 21일농지개혁법 공포
1951년
- 4월 23일한일 통상협정 체결
- 7월 24일국무회의, 한국경제 재건 부흥계획 통과
1952년
- 1월 15일경제부흥계획 발표
- 5월 24일한미 경제조정에 관한 협정(마이어 협정) 조인
1953년
- 4월한국의 재정적자 보전과 종합경제부흥 3개년 계획 수립(타스카보고서)
- 7월 31일한국경제재건 5개년 계획 수립(네이산보고서)
- 8월 17일기획처, 경제재건 기본방침 수립
- 10월 종합부흥계획 작성
- 12월 14일경제 재건 및 재정안정계획을 위한 한미공동경제위 협정 조인
1954년
- 1월 15일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5월 31일한국재건위원단(UNKRA)과 경제원조 협정 체결
- 7월 28일정부, 경제부흥 5개년 계획 수립
1955년
- 4월 15일부흥부, 100만호 주택건축 10개년 계획 수립
- 5월 31일한미 석유협정과 한미 잉여농산물(PL 480) 원조협정 체결
1956년
- 1월 9일한미 경제회담 개최
- 2월 3일원자력의 민간이용에 관한 한·미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체결
- 2월 27일경제부흥 5개년 계획 수립
1958년
- 1월 8일상공부, 1958년도 종합수출계획 수립
1959년
- 1월 13일정부, 1959년도 경제부흥 정책대강 공포
- 12월 24일경제개발 3개년 계획 수립
1961년
- 1월 10일한국 경제협의회(전국 경제인연합회의 전신) 발족
- 6월 10일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시안) 발표
- 7월 22일종합 경제재건 5개년 계획안(1962-66년) 발표
- 11월 7일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정안 마련
- 11월 9일물가조절에 관한 임시조치법 제정·공포(법률 제770호)
1962년
- 1월 13일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 1월 26일공업표준화 5개년 계획 수립
- 2월 2일기술진흥 5개년 계획 발표
- 6월 16일긴급금융조치법 제정·공포(법률 제1,091호)
- 8월 13일당면경제안정 및 물가대책 마련
1963년
- 2월 9일경제개발 5개년 계획 2차년도 기본경제시책 발표
1964년
- 1월 10일물가대책 등 주요 경제시책 5개항 마련
1965년
- 1월 7일 물가 억제·수출증대 등 경제시책 발표
- 7월 7일 대일청구권 및 경제협력 자금사용 계획 시안 발표
- 12월 2일식량증산 5개년 계획 마련
1968년
- 4월 2일물가억제 위한 종합물가대책 시행계획 발표
- 8월 1일소비건전화 방안 마련
1969년
- 3월 26일대일 청구권자금 제4차년도 실시계획 확정
- 9월 3일제3차 5개년 계획 지침 발표
1970년
- 1월 4일 농촌근대화 10개년 계획 확정 발표
- 1월 13일자동차 공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 및 70년도 시행계획 수립
- 10월 1일인구 및 주택센서스 실시
1971년
- 2월 9일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2월 18일2천만 달러 대일 농업차관협정 체결
- 6월 5일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IBRD 차관협정 체결
- 6월 16일통신시설 확장을 위한 독일 KFW 차관협정 체결
- 6월 24일농업개발 위한 1,400만 달러의 미 경제협조처 차관협정 체결
- 6월 30일수출산업 및 중소기업육성 자금용 대일차관협정 조인
- 8월 30일한국과학원 시설 도입을 위한 6백만 달러의 미 경제협조처 차관 체결
- 9월 8일 제1차 국토종합개발 10개년 계획 발표
1972년
- 7월 1일 한국·일본 5천만 달러 차관협정 체결
- 8월 3일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모든 기업의 사채 동결, 8·3조치)
1973년
- 10월 18일제1차 석유파동
- 11월 7일국민복지연금법안 확정
1974년
- 1월 18일쌀·석유류제품 기준가격 고시
- 2월 2일 설탕·비누 등 25개 품목 가격표시상품 지정
1975년
- 4월 11일근로기준법 적용범위를 5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 의결
- 6월 11일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12월 30일 1975년도 1인당 국민소득 531달러 발표
1976년
- 1월 19일9부 경제장관 합동회견(근로자재산형성 저축제 실시)
- 3월 2일 제4차 5개년 계획 기간 중 인구정책심의원회 설치
- 4월 9일 1조 저축 목표 총력저축 전진대회 개최
- 12월 7일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최종안 발표
1978년
- 1월 21일경제부처장관 공동기자회견, 1978년도 경제종합시책 발표
1980년
- 1월 12일환율 및 금리 인상조치 발표
- 1월 22일1980년도 경제운용계획 발표
- 11월 1일전국인구 및 주택센서스 실시
1981년
- 2월 11일의료보험 확대적용 결정(퇴직교원 등 연금수급자 적용)
- 4월 15일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기간의 고용 및 인력개발계획안 마련
- 8월 21일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발표
- 12월 19일수출실적 200억 달러 돌파
1982년
- 2월 23일건설부, 임대주택육성방향 수립
- 7월 3일 모든 금융거래 실명화 대책 발표(1983년 7월 1일부터)
- 11월 19일 1982년도 증산왕 시상
1983년
- 3월 3일인구영향평가제 실시 결정(1984년 7월부터)
- 7월 1일 부분적 금융자산 실명거래제 실시
- 12월 22일 제5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수정계획 발표
1984년
- 7월 1일 외자도입법 개정
- 7월 19일해외건설진흥 종합대책 발표
1985년
- 2월 21일국제그룹 해체하고 계열기업 매각 결정
- 9월 5일고용안정대책·주택건설 촉진방안 발표
1986년
- 3월 4일 인구 및 주택센서스 결과 발표(인구밀도 세계 4위)
- 6월 12일국민연금제도 시안 발표
- 7월 21일한미통상협상 일괄 타결(보험시장 개방, 지적재산권 보호 등)
- 9월 16일제6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 발표
1988년
- 1월 1일국민연금제·최저임금제 실시
- 5월 10일석탄산업합리화 기본계획 마련
- 7월 29일제6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 수정계획 확정 발표
- 10월 14일경제의 안정성장과 선진화합 경제 추진대책 발표
1989년
- 2월 1일 분단 후 최초로 북한 무연탄 2만 톤 직수입
- 4월 11일금융실명제거래실시 준비단 발족
- 6월 13일경제종합대책 발표
- 7월 1일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
1990년
- 1월 6일남북교류기금 설치 결정
- 4월 4일 금융실명제 무기한 연기 등 ‘경제활성화 종합대책’ 발표
- 10월 26일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수립 지침 확정
1991년
- 1월 3일사회안정·경제안정 등 6대 주요정책과제 선정
- 4월 10일최초의 남북직교역 승인(남한 쌀, 북한 무연탄·시멘트)
- 7월 1일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국제화부문계획안 확정
- 11월 12일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확정 발표
1992년
- 1월 8일 제3차 국토개발 10개년 계획 발표
- 1월 14일경제안정과 산업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1993년
- 3월 8일신경제 100일 계획·신경제 5개년 계획 마련·추진 결정
- 3월 22일신경제 100일 계획 발표
- 7월 2일 신경제 5개년 계획 확정 시행
- 8월 12일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 발동
1995년
- 7월 1일부동산실명제 실시
- 7월 1일 고용보험제 실시
1997년
- 3월 28일금융실명제 보완 방안 마련
- 4월 14일18개 단기과제 대통령 보고
- 11월 22일 외환위기 관련 담화 발표
- 12월 3일임창렬 경제부총리·캉드쉬 국제통화기금 총재, 한국에 550억 달러 긴급지원 발표
- 12월 4일국제통화기금(IMF) 대기성 차관 의향서 의결
1998년
- 2월 12일차기정부 100대 국정과제 발표
- 5월 6일‘1998년 규제개혁 종합지침’ 발표
- 10월 2일세계은행으로부터 2차 구조조정 차관 20억 달러 도입 합의
- 12월 23일 정부혁신 등 7대 국정과제 구현위한 21대 기획과제 발표
1999년
- 12월 20일새천년 새희망 주제 새해 5대 국정지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