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부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home > 더보기 > 재외 한인의 시대별 변천

재외한인의 시대별 변천

재외한인의 시대별 변천

재외한인의 이산은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유대인, 중국인, 그리스인, 이탈리아인 등 세계의 여러 민족들에 비교해서 짧다. 그렇지만 재외한인처럼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독립국가연합, 호주,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처럼 다양한 정치경제 체제에서 다양한 형태의 적응을 시도했던 민족은 역사상 그리 흔치 않다. 재외한인 이산의 역사는 크게 네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1860년대부터 1910년(한일강제병합이 일어난 해)까지인데, 이 시기에는 구한말의 농민, 노동자들이 기근, 빈곤, 압정을 피해서 국경을 넘어 중국, 러시아, 하와이, 멕시코, 쿠바로 이주하였다. 중국의 만주와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한 한인들은 경제유민(流民)으로서 당시 입국이 금지되었던 지역에서 농지를 개간하면서 신분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꾸려갔다.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의 한인의 이주는 1902~1903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하와이 거주 일본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해 일본이 1905년에 한인 이주를 금지하면서 더 이상의 이주는 불가능해졌다. 1905년까지 7,226명의 이주자들이 도착했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20대의 독신 남성이었다. 이들과 결혼하기 위해서 사진결혼의 형태로 1,000여명 가량의 한인 여성들이 1924년까지 하와이로 건너가서 이민 가정을 형성하였다. 중남미로의 이주는 1905년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에네켄 농장의 계약 노동자로 1,033명이 떠난 것이 효시이며, 이들 중 300여명이 1921년에 경제난을 피해 쿠바로 재이주하였다. 이들과 후손들은 모국과의 연계가 끊어지자 아주 작은 공동체를 유지하다 현지 사회문화에 급속히 동화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1910년부터 1945년(한국이 일본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한 해)까지인데, 이 시기에는 일제 통치시기에 토지와 생산수단을 빼앗긴 농민과 노동자들이 만주와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정치적 난민들과 독립운동가들이 중국, 러시아, 미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일본은 1931년의 만주사변과 1932년의 만주국 건설을 계기로 만주지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인들의 대규모 집단이주를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1930년대 후반 만주지역의 한인인구는 약 50만 명 정도 증가했는데, 이중 약 25만 명 정도가 집단이주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1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경제호황을 맞아 한인들이 노동자의 신분으로 도일하였으며, 1937년의 중일전쟁과 1941년의 태평양전쟁을 계기로 대규모의 한인들이 광산, 전쟁터로 끌려갔다. 이런 식으로 재일한인의 규모는 급속히 증가해서 일본이 미국에게 패한 1945년 8월까지 약 230만 명 정도에 이르렀다가 패전 후 많은 한인들이 조국으로 귀환하자 급속히 감소하여 1947년에는 598,507명으로 급감하였다.

세 번째 시기는 1945년부터 1962년(정부가 이민정책을 처음으로 수립한 해)까지인데, 이 시기에는 한국전쟁을 전후해서 발생한 전쟁고아, 미군과 결혼한 여성, 혼혈아, 학생 등이 입양, 가족재회, 유학 등의 목적으로 미국 또는 캐나다로 이주하였다. 1950년부터 1964년까지 6천여 명 가량의 여성들이 미군의 배우자로서 미국으로 건너갔다. 동일시기에 5천여 명 가량의 아동들이 전쟁고아로서, 혼혈아로서, 또는 입양아로서 미국으로 건너갔다. 위와 같은 두 부류의 이민자들이 전후 한인 이민자의 2/3을 차지하였다. 1945년부터 1965년까지 6천 명 가량의 유학생들이 학위 취득 후 고국에서 누릴 사회적 권위와 출세에 대한 기대를 갖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하지만 적지 않은 수의 학생들이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에 눌러 앉거나 또는 끝내 학위를 취득하지 못하고 미국에 정착하였다. 이들은 미군과 결혼한 한인 여성들과 마찬가지로 1965년 미국으로의 이민 문호가 활짝 개방되었을 때 가족들을 초청할 수 있는 연쇄이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네 번째 시기는 1962년부터 현재까지인데 이때부터 정착을 목적으로 한 이민이 시작되었다. 중국, 일본, 독립국가연합을 제외한 대부분의 재외한인 이민자와 그 후손은 이 시기에 이주하여 정착한 사람들이다. 1962년에 한국정부는 남미, 서유럽, 중동, 북미로 집단이민과 계약이민을 시작하였다. 1962년의 이민정책의 근본 목적은 잉여인구를 외국으로 내보내 인구압력을 줄이고 해외에서 일하고 사는 교포들이 송금하는 외화를 벌기 위한 것이었다. 최초의 집단이민은 1963년 브라질로 103명의 농업 이민자들이 출발한 것을 시작으로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으로 농장을 개간한다는 명목으로 중남미 국가들로부터 초청을 받아 이민을 갔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농업 경험이 없었고 황무지를 개간하는 것이 너무 힘든 일이어서 곧바로 대도시로 이주하여 상업에 종사하였다. 유럽은 1960년대 독일로 파견된 간호사와 광부들을 중심으로 유학생, 주재원 들을 중심으로 이민사회를 형성하였다. 미국과 캐나다로의 이주는 북서구 유럽계 이민자들만을 선호하던 이민법이 1960년대 중반에 개정되어 이민 문호가 한인에게도 열리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고등교육을 받고 화이트 칼라직에 종사했던 중산층이 1960년대 중반 이후의 미국과 캐나다로의 이주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미국으로의 한인 이민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정점으로 감소하였고, 오히려 이주를 포기하거나 역이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19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해외 이주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미국으로의 이주는 줄어든 반면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로의 이주는 증가해서 해외이주의 지역별 분포에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종래의 가족초청 이주는 줄어드는 반면 사업이주와 취업 이주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1997년 재외동포재단의 설립, 1999년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지위에 관한 법률』 공포 등에 따라 우리나라의 재외동포 업무는 보다 활기를 띠게 되었다.또한 2012년 4월 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재외국민의 투표권이 인정되어 해외에 거주하더라도 한국국적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선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1900년대 초 연해주 한인엽서, 정선아리랑연구소 제공

    1900년대 초 연해주 한인엽서,
    정선아리랑연구소 제공

    원문보기

  • 사진신부 결혼사진(1920), 한국이민사박물관 제공

    사진신부 결혼사진(1920),
    한국이민사박물관 제공

    원문보기

  • 재미교포들의 독립운동(1919) 재생

    재미교포들의 독립운동(1919)

    원문보기

  • 남양군도지역 한인 노무자 강제동원 실태에 관한 조사(2009)

    남양군도지역 한인 노무자
    강제동원 실태에 관한 조사(2009)

    설명보기 원문보기

  • 재외교포 활동상7(1976)

    재외교포 활동상7(1945)

    원문보기

  • 재외국민 등록령(1949)

    재외국민 등록령(1949)

    설명보기 원문보기

  • 이산의 시대(1994) 재생

    이산의 시대(1994)

    원문보기

  • 재외동포의 5.20총선거 입후보 조치에 관한 건(1954)

    재외동포의 5.20총선거 입후보
    조치에 관한 건(1954)

    설명보기 원문보기

  • 해외이민위원회령(1959)

    해외이민위원회령(1959)

    설명보기 원문보기

  • 실업자 구제 대책안(1960)

    실업자 구제 대책안(1960)

    설명보기 원문보기

  • 국가저력 배양을 위한 우수두뇌자원의 해외파견 양성 방안(1968)

    국가저력 배양을 위한
    우수두뇌자원의 해외파견 양성
    방안(1968)

    설명보기 원문보기

  • 해외이주 및 취업행정의 개선을 위한 보고(1974)

    해외이주 및 취업행정의 개선을
    위한 보고(1974)

    설명보기 원문보기

  • 재외동포 정책위원회 규정(1996)

    재외동포 정책위원회 규정(1996)

    설명보기 원문보기

  •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공포안(1999)

    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 공포안(1999)

    설명보기 원문보기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