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총설 > 일제강점기 건축도면의 의의와 가치

의료.세관

일제강점기 건축도면의 의의와 가치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 도면들은 사라져버린 우리의 과거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중 하나이다. 특히 19세기 말 이후 급격하게 서구의 근대 문명과 건축의 이식을 경험했던 역사적 사실을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 주는 자료이며, 해방이후 전쟁과 급격한 도시의 발달을 거치면서 지금은 사라진 당시 건축물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근대 건축물은 급격한 이식의 산물이었다. 비록 서구인이나 일본인에 의해 주도되긴 하였지만, 한국의 현대 건축과 도시의 원풍경을 만들어내 하나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런 만큼 아직 남아 있는 근대 건축물 뿐 아니라, 이미 사라져버린 근대 건축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근대 건축물과 관련된 근대 건축기술과 근대 건축계획 등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당시의 건축물 및 도시의 상황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일제시기의 건축 도면은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국가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은 근대 초기 건축물의 건립 당시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당시에 생산된 건축 도면의 분석을 통해 건물이 건립될 당시의 계획 형태, 내부 공간의 활용 방법 등을 알아낼 수 있다. 특히 1900년대 초반의 건물들은 건립 이후 100여 년이 지나면서 많은 변형이 있었기 때문에 초기의 건물 내외부의 모습을 확인하고, 복원하는데 결정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일제 시기 건축 도면에 기록된 내용을 토대로 이미 멸실된 건축물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시의 도시 풍경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세관관련 도면을 통해 관련시설인 항구와 철도의 근대시설로의 변화 양상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근대 시설물들이 기존의 대형필지나 작은 필지들을 합필(合筆)한 대지에 신설되면서 전통도시가 근대도시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인 만큼 일제시기 건축도면이 갖는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시기에 근대적인 방식으로 실측되어 작성된 이전 시기의 재래(在來)건축물에 대한 도판 또한, 한국전쟁과 이후의 개발을 통해 변형되기 이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도판1. 조선총독부의원부지 및 부근평면도, 1910-2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2. 부산세관부지, 1922상세보기
  • 도판3. 전주자혜의원부속병실병토병기기타신축배치도, 1909-15년 추정상세보기

일제시기 건축물에 대한 양상과 도시의 모습 이외에도 일제시기 건축도면이 보여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근대기 신건축 기술의 도입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 시대에 주요한 건축 재료는 흙과 나무였으나, 근대 문물이 수용되면서 건축 재료 또한 근대적인 재료, 즉 벽돌, 콘크리트 등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특히, 기존에 없었던 근대적 기능을 요구하는 시설인 병원, 세관 등이 제도적으로 도입되면서, 사용된 새로운 건축 기술과 건축 재료의 발달 과정을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비 관련 도면을 통해 근대적 설비의 도입과 사용 양상도 살펴볼 수 있어, 관련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도판4. 벽돌조 구법 - 해주자혜의원 본관 현관 상세도, 192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5. 철근콘크리트 구법 - 신의주세관 청사 신축기타공사 설계도, 1926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