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이야기(식)

  • 피난민들의 음식
  • 혼분식 이행실태
  • 주곡자급화
  • 우리나라 최초의 라면
  • 기록물로 다시 살펴보기

기록물로 다시 살펴보기

문서개요
(문서)혼분식 이행 실태
원문보기
기록물 개요
문서제목 혼분식 이행 실태
대통령이름 박정희
생산기관 대통령비서실
생산일자 1975. 6. 20.(6.21.)
생산연도 1982년
관리번호 EA0001782
문서크기 17.2×25.5(cm)
  • - 1975년 6월 20일자로 작성, 1975년 6월 21일 대통령비서실 정무 제2비서실에서 박정희 대통령에게 1975년 6월 21일 보고한 ‘첩보보고’ 문서이다. 첩보보고는 ‘어떤 실정을 몰래 알아내어 보고하는 것’ 을 말하는데, 첩보 내용을 담고 있어 일반적인 문서 형태를 띠고 있지 않고 간단히 보고한 내용 두 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 - 70년대 중반 혼분식 장려 운동이 느슨해진 시기에 혼분식의 이행 실태를 은밀히 조사하여 첩보문서라는 이름 아래 보고한 것도 흥미롭지만, 1면 문서의 상단에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쓴 지시 사항(“내무장관과 서울시장에게 지시 철저히 단속케 할 것” “안성군수는 문책할 것”)이 이채롭다.
  • - 1982년 대통령비서실에서 정부기록보존소(국가기록원 전신)에 이관되었으며, 이관될 당시에는 첩보처리철(1974년)에 합철되어 있었다. 현재 「혼분식 이용 실태」 1건이 1철을 구성하고 있다.
  • - 이 문서는 정부기록보존소 직제 개정(1986. 6. 14. 대통령령 11930호)에 따른 대통령 재가 문서의 특별 관리(“대통령 결재 문서에 대하여 대통령기록문서고를 설치하여 이를 수집 · 관리 보존하여야 한다.”) 규정에 따라 ‘대통령 결재 문서’ 로 관리되었다.
문서탈초

혼분식 이행 실태

  • 내무장관과 서울시장에게 지시
  • 철저히 단속케 할 것
  • <1>안성군수는 문책할 것 6/21
    <2>첩보보고

6. 20.

제목 : 혼분식 이행 실태

정부에서는 식량 소비 절약과 자급책의 일환으로 전국적인 혼분식 실천과 음식업소에 대한 단속으로 연간 45만t(약 732억 3,500만 원)의 쌀을 절약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요즘 일부 업소와 공공기관 구내식당에서 혼분식 지시를 이행치 않아 효과가 미흡한 실정으로서 농수산부가 74년도에 전국 389,422개 음식업소에 대한 혼분식 이행 실천을 조사하여 총 1,739건(0.7%)의 위반 업소를 적발한 데 비해 75. 5월 말 현재 전국 162,533개 업소에 대한 조사에서 위반 업소가 1,259건(0.8%)으로 증가, 혼분식 이행도가 저하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금융기관과 일부 공공기관 구내식당은 관계 당국의 단속이 소흘함을 이용, 30% 혼식을 외면한 채 보리쌀 1~5%를 형식적으로 혼합한 백반(白飯)을 판매하는 것을 비롯, 무교동 소재 금약(金藥) 삼지(三旨) 등 대부분의 왜식점(倭食店)과 한정식점 <3>무미일(無米日)(수 · 토요일)에도 단골손님을 안내하여 백반을 팔고 있다 하며, 경기도 안성군 구내식당은 74. 12 개업 이래 100% 백반을 팔고 있는데도 군(郡) 당국은 이를 방관한 채 취식(取食)하고 있으며, 여주읍 홍문리 용궁식당은 무미일(無米日)인 지난 5. 14(수요일) 중식시간에 백반을 판매했는데도 단속 기관인 동군(同郡) 직원들이 공공연하게 매식(買食)함으로써 일반 주민들로부터 빈축을 사고 있다고 함.

* 참고 : 문서 본문 내용의 밑줄 친 부분은 대통령이 직접 표시한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학습 정리하기
  • 이 기록을 보면 관공서에 혼분식을 지키지 않았다고 <1> ‘안성군수를 문책하라’ 는 지시내용을 볼 수 있다. 만약 당신이라면 어느 정도로 문책을 하겠는가? 이런일 가지고 군수를 문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나?
  • 문서를 통해 당시 혼분식을 장려한 의도를 찾아 간단히 나열 · 정리하시오
  • 문서의 첫 머리 부분에 <2> ‘첩보보고’ 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첩보보고란 무슨 뜻인지 알아보자
  • 문서에 <3> ‘무미일(無米日)’ 은 무슨 뜻이며, 2주일에 몇 번 정도, 어느 날을 무미일로 정했나?
  • 문서 <3> ‘무미일(無米日)’ 이란 용어를 우리나라 말이나 보다 쉬운 말로 표현한다면 어떤 용어로 표현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