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광복 70년 위대한 여정 새로운 도약

시기별 개관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2-1966)

‘국가 자주경제 재건에 총력을 다한다
기본목표

산업구조 근대화, 자립경제의 확립을 더욱 촉진

중점과제
  • 식량자급
  • 공업구조 고도화의 기틀 마련
  • 7억불 수출 달성, 획기적인 국제수지 개선의 기반 확립
  • 고용 증대, 인구팽창 억제
  • 국민소득의 획기적 증대
  • 과학 및 경영기술 진흥, 인적자원 배양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2~1966) 썸네일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1962~1966)
원문보기

기록물 더보기
  • 3.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보완계획 B안, 1963.12.10
  • UN대사경제개발5개년계획관련회의참석1
  • UN대사경제개발5개년계획관련회의참석2
  • 동영상 강철 생산
  • 동영상 경제 개발 5개년 성과
  • 동영상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모형 전시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평가 교수회의
  • 경제개발5개년계획모형전시1
  • 경제개발5개년계획모형전시2
  • 박정희 대통령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종합평가교수단보고청취
  • 박정희대통령경제개발5개년계획심사분석보고청취회담
  • 울산공업지서독기술자현지관련자료1
  • 울산공업지서독기술자현지관련자료2
  • 울산공업지서독기술자현지관련자료7
  • 울산공업지서독기술자현지관련자료8
1 2

3.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보완계획 B안, 1963.12.10

3.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보완계획 B안, 1963.12.10
기록물 철 제목 제6차 한.일회담(1961.10.20-64.4) 청구권 관계자료, 1963 (DA0286420)
기록물 건 제목 3.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보완계획 B안, 1963.12.10 (1963)

제1차 계획의 수정

제1차 계획의 목표 성장률 7.1%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내자와 외자가 요구된다. 정부는 내자동원을 위해 일반은행을 국유화하고 1962년 6월에는 통화개혁을 단행했지만,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게다가 에너지원을 포함한 사회간접자본과 기간산업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외국자본이
요구되었으나 이 기간에 도입된 외자는 필요 외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는 두 가지 행동을 변화시켰다. 첫째, 제1차 계획을 수정하였다. 제1차 계획의 수정은 1962년 11월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의 작업은 제1차 계획의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963년 2월 이후에는 제3년차 계획을 중심으로 계획 작성에 착수하여 7월에 성안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독에서 파견된 경제고문단의 지원을 받아 최종 5년차까지의 계획을 완성하고 1964년 2월에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보완계획』으로 발표하였다. 이 계획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목표 성장률을 7.1%에서 5%로 하향 조정하고 그에 따라 투자 규모를 대폭 줄인 것이었다.

둘째, 제1차 계획의 주요 투자사업의 규모가 줄어들거나 폐지되었다. 이에 해당하는 가장 대표적인 사업이 종합제철공장 건설계획이었다. 1963년 3월에 생산된   『'종합제철공장 건설에 관한 건'』  을 보면, 종합제철공장 건설을 위해 미국의 브로녹스(Blaw Knox)사와 1962년 11월에 기본협약서를 체결했고, 1963년 3월에 국내 사업자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경제각료회의에 이 안건을 상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은 차관선이었던 미국에서 경제성과 기술성이 없다는 이유로 자금 지원을 해주지 않아 결국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