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여수측후소

조선총독부의 측후소는 1925년부터 각 도립으로 운영되다가 1938년부터 조선총독부기상대 산하의 측후소로 다시 개편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여수측후소는 조선총독부기상대 부속기관으로 전라남도 여수군 여수읍에 1942년 2월 9일 설치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국립중앙관상대 여수측후소를 거쳐 광주지방기상청 여수기상대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여수측후소와 관련된 도면 11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여수측후소 소장 목록
명칭 연도 도면수
여수측후소 1942-1945 11

여수측후소의 대지는 동서방향으로 긴 장방형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서남쪽으로 도로를 접하고 있다. 주변 지형보다 3m 정도 솟은 대지에 청사와 부속 건물들이 배치되었고, 남쪽으로 인접하여 한단 낮은 대지에 관사 2동이 계획되었다. ([도판1] 참조) 자세한 건물의 배치계획은 [도판2]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부지의 정문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도로, 지형과의 관계를 볼 때 서쪽에서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부지를 서쪽에서 들어오게 되면 북쪽에 기상 관측을 위한 노장(露場)이 위치하였는데, 울타리로 둘러싸인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되었으며, 남쪽으로 출입하도록 계획되었다. 노장 안의 북동쪽에는 우량계실(雨量計室)이 배치되었다. 청사는 부지의 동쪽으로 치우쳐 배치되었으며, 청사 동쪽에는 부속건물(附屬家)이 연결되었다. 청사 북동쪽에는 창고가 배치되었고, 신호주(信號柱), 무전주(無電柱) 무선주(無線柱) 등의 설비가 청사 주면에 위치하였다. ([도판2] 참조)

구체적인 청사의 계획은 [도판3]에서 확인된다. 관측사무를 위한 청사건물과 숙직사무를 볼 수 있는 부속건물이 연속하게 계획되었다. 청사는 바람관측을 위해 부분적으로 2층으로 계획된 곳을 제외하고는 단층의 경사지붕으로 계획되었다. 주 출입구는 청사 서쪽에 계획되어 박공면으로 출입하였다. 출입구 상부에는 ㄱ자로 된 캐노피를 설치하고 이를 인조석으로 마감하였다. 다른 대부분의 외벽은 모르타르로 마감되었으나, 출입구 주변 벽체의 벽돌 노출과 캐노피 상부의 벽돌 장식, 전술한 인조석 마감은 건물의 정면을 강조하기 위해 계획된 것이다. 주 출입구를 제외한 입면에는 특별한 장식은 없으며, 규격화된 창문들이 반복되어 사용되어 단순한 입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판3], [도판4] 참조)

청사 1층은 복도를 가운데 두고 각 실을 양쪽에 배치한 중복도 형식으로 계획되었다. 남쪽에는 가장 넓은 방인 관측실(觀測室)과 사무실이 있고, 북쪽에는 가스실, 암실(暗室), 계단실, 기계실(器械室), 화장실(便所)이 계획되었다. 2층에는 예비실(予備室)이 있고, 계단을 통해 옥상으로 올라가면, 바람을 관측할 수 있는 옥상관측장(屋上觀測場)이 계획되었다. 옥상관측장의 풍압계(風壓計), 풍신기(風信器) 등은 1층의 관측실과 연결되어 실내에서 계측할 수 있도록 계획된 것으로 보인다. 사무실과 관측실에는 벽난로를 설치하였으며, 굴뚝은 외벽 바깥쪽에 벽돌조로 덧붙여졌다. 청사의 우측에 위치한 부속건물은 다다미방과 온돌방으로 된 숙직실 영역으로 계획되었다. 숙직을 위한 욕실과 벽장 등이 계획되었다. ([도판3] 참조)

청사의 주요 구조는 벽돌과 철근콘크리트의 병용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지붕은 일식 목구조 위에 기와로 마감되었다. 옥상관측장이 있는 2층 부분의 바닥판과 계단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가 사용되었다. 부속건물에는 목구조를 사용하였으며 외벽은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지붕은 청사와 마찬가지로 일본식 목구조를 사용하였고, 기와로 마감하였다. ([도판5], [도판6] 참조)

노장(露場)의 우량계실(雨量計室)은 지하로 계획되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계획되었으며, 계단을 통해 실로 접근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에 빗물을 계측할 수 있는 구멍과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우량 계측구 하단에 계측대가 있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외에 청사 동북쪽의 창고는 목구조로, 부지 남쪽에 위치한 펌프실은 벽돌조로 계획되었다. 창고 안에는 땔감을 보관하는 공간(薪炭置場)이 따로 마련되었는데, 이곳의 외벽은 모르타르 마감한 창고의 외벽과 달리 나무판벽으로 구성되었다. ([도판7], [도판8] 참조)

[참고도판]

  • 도판1. 여수측후소청사지균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2,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배치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3.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4.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5.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6.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부속지부,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7.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8. 여수측후소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1942년 추정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