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의료 > 도부립병원

의료

도부립병원

도립의원은 1922년 일본 정부의 긴축 재정 정책과 1923년 관동대지진의 영향 등으로 192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 및 재정을 정리하게 되면서 관에서 운영하던 자혜의원을 1925년부터 도 지방비로 운영하도록 하면서 설치된 의료시설이다. 1925년 4월 1일자로 칙령 제75호로「조선도립의원관제(朝鮮道立醫院官制)」가 공포되고, 동일 조선총독부령 제29호로「도립의원규정(道立醫院規程)」이 공포되면서, 기존의 자혜의원들이 모두 도립의원으로 개편된 것이다. 개편 이후에도 도립의원은 1920년대에 3곳, 1930년대에 10곳 등 지속적으로 신설되었다.

일제강점기 도립의원 외에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으로 운영되는 공립의원으로는 부립병원이 있었다. 부립병원은 대체로 영사관 부속의원을 거쳐 거류민단립병원으로 개편되었다가, 1914년 4월 부제(府制)가 실시되면서 부립병원으로 개편된 의료시설이었다.

부립병원 중 순화의원은 다른 부립병원과는 달리 전염병환자를 격리, 수용하여 치료하는 시설이었다. 기존의 전염병 수용시설인 피병원(避病院)의 후신으로 1911년 7월 탁지부 소관의 경우궁(景祐宮)을 빌려 병실, 소독실 등을 갖추고 개원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강원도립강릉의원, 강원도립철원의원, 경상북도립대구의원, 충청북도립청주의원, 함경남도립혜산진의원, 부립병원으로는 경성부립순화의원, 부산부립병원, 원산부립병원과 관련된 도면이 59매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다.

명칭 연도 도면수
강원도립강릉의원 1925.04 ~ 1945.08 12매
강원도립철원의원 1931.04 ~ 1945.08 4매
경상북도립대구의원 1925.04 ~ 1945.08 3매
충청북도립청주의원 1925.04 ~ 1945.08 13매
함경남도립혜산진의원 1925.04 ~ 1945.08 5매
경성부립순화의원 1911.08 ~ 1945.08 6매
부산부립병원 1914.04 ~ 1945.08 11매
원산부립병원 1914.04 ~ 1933.06 5매
각 도립의원의 개원연도는「조선도립의원요람(朝鮮道立醫院要覽)」과「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에 개제된 내용을 참고하였다.

각 시설의 계획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원도립강릉의원은 1912년 8월에 개원한 강릉자혜의원이 개편된 것이다. [도판1]은 1934년에 작성된 것으로 소독장치 설치를 위한 본관 도면이다. 각 실이 복도에 덧붙여진 비대칭의 모습으로 자혜의원 당시 대부분의 건물이 육면체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한 것과 비교해본다면 상당히 다른 방식의 설계라고 할 수 있다. 매스의 분절과 현관이 치우치는 등의 계획 수법은 1932~33년에 계획된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 외래진료소의 계획과 상당히 유사하다. 약국과 수술실 일부는 단층으로 계획하여 층별 평면 크기에 변화를 주었다. 출입구는 정면 왼쪽에 두고 그 앞에 램프와 계단을 두어 진입하도록 하였다. 1층에는 약국, 내과진찰실, 부인과진찰실, 수술실 등이 배치되었고, 2층에는 안과, 이비과, 치과 등의 진찰실과 교육실, 의국 등이 계획되었다. 내부 벽의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여 원활한 이동을 고려하였음을 볼 수 있다. 수술실의 외벽은 둥근 원형으로 하여 다수의 창을 설치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는 채광과 환기에 유리한 방식이다.

강원도립철원의원은 1931년 4월 2일, 철원군 철원면 사요리(四要里)에 설치되었다. [도판2]는 그 배치도이다. 정방형에 가까운 부지에 본관과 병동 등이 배치되어 있다. 본관은 一자형의 건물로 1층은 중복도 형식으로 구성되었고, 전면 일부만 2층으로 계획되었다. 1층 중앙의 홀을 벽의 모를 접어 넓게 하고 문을 단 독립된 공간으로 계획한 점이 특이하다. 또한, 2층 부분은 1층과 달리 복도를 앞에 두고 뒤에 각 실을 배치한 점도 특이하다. 난방은 벽난로를 이용하였다.([도판3] 참조)

충청북도립청주의원은 1909년 12월에 개원한 청주자혜의원이 개편된 것이다. [도판4]는 1933년에 제작된 배치도로 기존의 본관 앞에 새로운 본관을 신축하려는 계획을 보여준다. 재미있는 점은 신축하려는 본관이 강릉의원의 본관과 같은 계획의 건물인데 좌우를 바꿔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기존 건물의 주요 동선이 부지의 중앙에서 동쪽으로 조금 치우쳐 있어 현관이 왼쪽으로 치우쳐 있는 신축 본관이 그대로 배치하기엔 무리가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좌우를 바꾸면서 본관계획도 조금 수정이 되었다.([도판5] 참조) 1층 배면에 실이 추가되면서 건물의 폭이 두꺼워졌고, 2층의 좌우 길이도 줄어들었다. 계단실에 창을 둔 점도 다른 점이다. 본관은 벽돌조 구조에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하여 계획되었다.([도판6] 참조)

경상북도립대구의원은 1910년 9월에 개원한 대구자혜의원이 개편된 것이다. 개편 이후 1926년 4월에 본관과 뢴트겐실 백칠십여평이 소실되는 화재가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대구의원을 이전 개축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1927~28년에 걸쳐 신축공사가 진행되었고, 신축된 의원은 당시 도립의원 중에서는 가장 좋은 시설로 규모도 기존 의원에 비해 2배가량 컸다고 한다. 신축 당시 제작된 도면은 남아있지 않으나 1935년에 난방장치 시공을 위해 그려진 도면이 남아 있어 당시의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도판7]은 본관과 병동 등 일부의 건물이 그려진 배치도이다. 자동차로 진입할 수 있는 램프를 가진 포치가 전면 중앙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본관 뒤로 1, 2등 병실, 3등 병실이 차례로 복도로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1, 2등 병실은 중앙과 오른쪽 두 곳에 계획된 복도로 본관과 연결되었다. 설비 도면이기 때문에 그 계획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본관과 병실 모두 중복도 형식을 하고 있어 규모가 큰 건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함경남도립혜산진의원은 1923년 11월에 개원한 혜산진자혜의원이 개편된 것이다. 개편이후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1927년에는 본관 내부의 벽체 변경 공사가 있었는데,([도판8], [도판9] 참조) 각 실의 용도를 변경하면서 이에 따라 벽의 위치를 변경하고 창과 문의 위치와 종류를 변경하고 있다.

경성부립순화의원은 경우궁 자리에 기존의 온돌이 설치된 건물 외에 병실, 소독실 등을 신축하여 1911년 7월에 개원한 전염병 전용 병원이었다. [도판10]는 개원 당시 제작된 도면으로 보이는데, 배치도가 나와 있어 당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실선으로 그려진 건물이 경우궁의 배치로 보이며, 부지 가운데 굵은 선으로 그려진 건물이 신축 병실로 기존 건물 일부를 헐고 배치하려는 의도를 알 수 있다. 신축 병사에 대한 자세한 모습은 [도판11]의 평면도에 나와 있다. 외래진료가 주목적인 다른 병원과 달리 전염병 환자 수용이 주목적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공간이 병실로 계획된 것을 볼 수 있다. 건물의 주 출입구는 전면 양쪽 2곳에 계획되었는데, 왼쪽은 관리자의 출입구로 사무실과 약국, 숙직실 등과 연결되었으며, 오른쪽은 병실과 바로 연결된 환자 전용 출입구로 사용되었다. 전염병원의 특성상 외부와의 격리에 많은 신경을 쓴 흔적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병실과 연결되는 모든 출입구에는 2중, 3중으로 문을 계획하여 다른 공간과의 소통을 최대한으로 줄이려고 하였다. 뿐만 아니라 벽의 구조도 병실과 나머지 부분에 다른 형식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도면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사무실 부분은 목조 단층 건물이었으며, 외벽은 누름대 비늘판벽으로 마감되었다. 이후 계속되는 전염병 환자의 증가로 시설의 증설문제가 대두었다. 그러나 1930년 박석고개 신축이전 건, 1931년 경성제대 부속병원 뒷산 신축 건은 주민들의 반대여론 등에 의해 실현되지 못하였고, 결국 1933년 9월 원래의 부지에 건물을 증축하여 확장하였다. 확장 당시의 건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지하를 포함한 4층 734평 규모로 약 160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의 도면은 현재 남아있지 않아 자세한 모습을 알 수 없으나 동아일보 1933년 9월 16일자 2면에 낙성식 사진이 있어 그 모습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의 증축에도 불구하고 이듬해 또 다시 대규모 증축 계획을 세웠는데, 이를 통해 당시 증가하는 전염병 환자가 상당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부산부립병원은 1876년 11월 창설된 관립제생의원이 1894년 10월 부산공립병원으로 개칭된 이후 1907년 거류민단 병원을 거쳐 1914년 4월 부제(府制)의 실시로 부립병원이 되었고, 현재 부산의료원에 이르고 있다. 초기의 모습은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알기 어렵다. 1925년에는 병실 등을 증설하는 병원 확장이 있었고, 이후 1936년에 대규모의 이전 신축하는 계획이 진행되었음이 확인된다. 이 당시 지어진 새로운 병원은 본관 700평, 일반병동 1,200평, 전염병동 639평 등 총합이 2,600여 평의 규모로 신식의 양옥건물에 최신 설비가 설치된 대규모의 확장이었다고 하는데, [도판12], [도판13], [도판14]가 당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모습은 [도판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면 왼쪽으로 본관이 위치하고 있고, 그 뒤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1, 2, 3, 4, 5, 6호 병동이 나란히 배치되어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도판13]은 본관 1층의 평면도이다.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전면 일부가 2층으로 된 건물이다. 차량 진입이 가능한 포치를 중앙 현관 앞에 계획하였고 왼쪽의 부출입구 겸 계단실의 평면을 둥글게 하여 입면에 변화를 주었다. 건물의 내, 외부 모서리를 둥글게 계획한 점과 각 실의 규모가 건물의 단변 길이에 제약을 받지 않는 평면 계획이 눈에 뜨인다. 사용된 구조 기법과 계획 수법은 1930년대 중반의 계획 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도판14]는 1, 2호 병동의 일층평면도이다. 전면에 복도를 두고 뒤로 병실을 둔 일반적인 병실의 모습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2층 건물이다.

원산부립병원은 개원시기가 명확하지 않다. 부제(府制) 실시 이후 계속 유지되어 왔을 것으로 추정되며, 1933년 7월 1일 도(道)로 이관되어 함경남도립원산의원으로 개편되었다. 초기 모습과 관련된 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그 모습은 알기 어려우나, 도립의원으로 개편되기 바로 직전인 1933년에 제작된 도면이 남아 있어 당시의 모습은 확인할 수 있다. [도판15]는 수도관 공사를 위해 제작된 도면으로 병원의 배치가 기록되어 있다. 앞뒤로 긴 장방평의 대지에 전면의 본관과 병동 2동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복도로 연결된 모습이다. [도판16]은 원산부립병원의 전체 평면도로 보다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본관과 병동이 중앙부 일부만 중복도로 계획하고 다른 부분은 편복도로 설계하였다. 병실에 베란다를 둔 모습이 특이하다. 본관은 1층, 병동은 2층으로 계획되었다. 「조선도립의원요람」에 실린 원산도립의원의 사진에는 본관이 2층으로 되어 있어 이후 다시 개축이 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도립의원으로 개편되기 이전부터 있었던 개축 계획이 이전 이후 실현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도판]
  • 도판1. 강원도립강릉의원본관증기소독장치공사설계도/1, 1934상세보기
  • 도판2. 도립철원의원전기설비추가공사설계도, 1931-45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3. 도립철원의원전기설비공사설계도/배선도/기1, 1931-45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4. 충청북도립청주의원증축공사배치도/1, 1933상세보기
  • 도판5. 충청북도립청주의원급수급배수장치설계도/12, 1934상세보기
  • 도판6. 충정북도립청주의원증축공사설계도/현관급계단단면상세/4, 1933상세보기
  • 도판7. 경상북도립대구의원병실난방장치기타공사설계도/94, 1935상세보기
  • 도판8. 도립혜산진의원청사모양체평면도/1계/2호, 1927상세보기
  • 도판9. 도립혜산진의원청사모양체평면도/2계/3호, 1927상세보기
  • 도판10. 순화의원병실기타신축설계도/1, 1911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1. 순화의원병실기타신축설계도/2, 1911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2. 부산부립병원진공증기난방장치기타공사설계도, 1933-34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3. 부산부립병원진공증기난방장치기타공사설계도/본관일계평면도, 1933-34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4. 부산부립병원진공난방장치기타공사설계도/일이호병동일계평면도, 1933-34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5. 원산부립병원증기난방병증기소독장치공사설계도(수도관시설)/수도배관도/1, 1933상세보기
  • 도판16. 원산부립병원증기난방병증소독장치공사설계도(증기소독장치공사)/증기소독장치평면도/2, 1933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