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총설 > 각급 기관 및 지방행정 시설 > 총설 > 행정시설 도면의 현황과 분석

각급 기관 및 지방 행정시설편

행정시설 도면의 현황과 분석

2013년 현재 국가기록원에 소장되어 있는 대한제국 시기 및 통감부기(1906-1910)와 일제강점기(1910-1945)에 작성된 건축도면 중 행정시설에 관련된 도면은 모두 2,408매이다. 이중, 684매는 2011년에 정리 및 공개된 도면이며, 광화문에 있었던 조선총독부 청사에 관련된 도면 296매는 2012년에 공개되었다. 2013년에는 이에 더하여 1,428매의 행정시설 관련 도면이 추가로 정리되어 공개되었다.

행정시설 관련 도면에는 1910년 이전과 1910년대의 도면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대한제국기인 1900년대와 일제강점 초기인 1910년대의 근대 건축물에 대한 계획 방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시기별로 다양한 도면이 소장되어 있어, 각 시기별 관청 시설 계획 방식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각 시설별로 소장 현황을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시설유형 대한제국 행정시설 통감부 행정시설 조선총독부 (남산) 조선총독부 (광화문) 일반행정시설
시설 15개 16개 1개 2개 14개
도면 227매 112매 107매 301매 103매
시설유형 지방행정시설 세무행정시설 기타행정시설 기타 <총계>
시설 102개 6개 25개 18개 2,408매
도면 994매 105매 396매 36매

도면들은 도면의 보수와 복원 작업을 거친 이후, 정밀 스캔되었으며,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주요 범주에 따라 목록화하였다. 각 도면들의 내용을 목록화하는 범주로는 [원본폴더번호], [원본도면번호], [도면고유번호], [주제], [시설유형], [시설명], [개별건물명], [공사유형], [지역], [생산연도], [기록물유형], [출처], [도면내용], [도면명], [필기구], [도면재질], [기타] 등이 설정되었다.

행정시설은 기본적으로 설립된 시기와 시설의 목적에 따라 1차 분류를 하였다. 먼저 1910년 이전의 대한제국 관할의 시설을 [대한제국행정시설]로 분류하고, 1906년 통감부 설치 이후 통감부 관련 기관을 [통감부행정시설]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행정시설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중앙 청사인 [조선총독부(남산)]과 [조선총독부(광화문)]을 우선 분류하고, 그 외 행정시설들을 분류하였다. 경성 내 주요 지역에 건립된 조선총독부 산하의 여러 행정시설은 [일반행정시설]로 분류하였고, 전국을 대상으로 한 행정시설의 경우에는 지방의 통치를 담당한 도청, 부청과 같은 시설을 [지방행정시설]로, 세무 업무를 담당한 시설을 [세무행정시설]로 분류하였다. 그 외에 조선총독부 산하의 여러 사업을 위해 설치된 각 종의 기관을 [기타행정시설]로 분류하였으며, 단일 시설에 대한 도면이 충분치 않거나 매우 간소한 시설의 경우에는 [기타]로 분류하였다.

2.1.1. 도면의 시기별 수량 및 작성연도 기재 현황

그림  행정시설의 시기별 수량 및 작성년도 기재 현황  이미지

[그림1] 행정시설의 시기별 수량 및 작성년도 기재 현황

1910년을 기점으로 10년을 단위로 행정시설 도면의 소장 현황을 파악해 보면, [그림1]과 같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현재 소장된 도면은 1940년대를 제외하고는 각 시기별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1910년 이전의 것이 373매로 전체의 15.5%이고, 1910년대의 것은 703매로 29.2%이다. 1920년대의 도면은 전체의 15.9%인 384매가 확인되며, 1930년대의 도면은 가장 많아 32.7%인 787매가 확인된다. 1941-1945년의 도면은 49매(2.0%)에 지나지 않으며, 전체 도면의 4.7%인 112매는 10년 단위로 연도가 파악되지 않는 도면들이다.

이러한 도면의 시기적 분포는 행정시설 계획의 역사적인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먼저 대한제국 말기 행정제도를 계속 개편하면서 그에 걸맞는 양식건축물들을 건립했던 것과 1906년 통감부 설립 이후 통감부와 각 지방의 이사청을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였던 의양풍 건축물로 신축한 것들에 대한 도면이 잘 남아 있다. 또, 1910년의 도면이 전체의 29.2%로 다른 시설의 도면에 비해 다수 남아 있는 것은, 강점 이후 급속하게 지방통치제도를 정비하면서 각 지역에 다양한 행정시설을 건립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1930년대의 도면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것도 1920년대 중반 이후 식민통치의 경제력이 안정되면서 각 지방의 도청 등 지방행정시설이 다시 신축되기 시작하였고, 이외에 세무행정 등 행정 업무의 분화에 따른 시설이 지속적으로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다른 시기에 비해 1941-45년의 도면은 그 수가 극히 작은데, 이는 전쟁기 전쟁 수행 관련 시설의 건설에 집중하였던 시대적 정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현재 정리된 행정시설 도면 2,408매 중 구체적인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799매로 전체의 33.2%밖에 되지 않는다. 작성연도는 분류표가 작성되어 있는 도면에는 분류표 내에 작성연도가 ‘大正 O년’ 또는 ‘昭和 O년’ 등의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분류표가 없더라도 도면의 여백에 수기로 도면의 작성연도가 기록되어 있는 도면들도 있다.

구체적으로 작성연도 기재비율을 살펴보면, 1910년 이전의 도면 중에는 작성연도가 기재된 도면이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1910년대의 것 중에서도 미기재 도면이 대다수로 해당 도면의 18.9%에만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다. 1920년대에는 30% 정도의 도면에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1930년대에는 70%에 달하는 552매의 도면에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어, 시대에 따른 도면관리방식의 변화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다시 1940년대가 되면 1매를 제외한 48매의 도면 모두에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시기별 변화는 도면의 관리 방식과 중요도가 시기에 따라 변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1920년대가 지나면서 안정적인 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었다가 1940년대 전쟁이 격화되면서 다시 상황이 악화되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  행정시설 도면 작성연도 추정 현황 이미지

[그림2] 행정시설 도면 작성연도 추정 현황

작성연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1,609매의 도면에 대해서는, 도면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시설의 연혁을 추적하여 해당 도면의 작성연도를 추정하였다. 도면, 문헌 등 관련 자료가 풍부한 경우에는 1년 이내로 작성연도를 구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으나, 관련 자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2-3년 단위 또는 4-5년 단위에서 작성연도를 추정하였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10년 단위나 그 이상의 단위에서 도면의 작성연도를 명시하였다.

[그림2]는 행정시설 도면 중 작성연도 미기재 도면에 대한 연도 추정 현황이다. 전체 미기재 도면의 24%인 383매에 대해서는 1년 이내의 구체적인 추정이, 32%인 514매에 대해서는 2-3년 단위의 추정이 가능하였다. 나머지 중 267매(17%)에 대해서는 5년 이내, 263매(16%)에 대해서는 10년 이내의 추정 밖에 할 수 없었으며, 182매(11%)에 대해서는 10년 이상의 범위에서 추정 작업이 이루어졌다. 전체 미기재 도면의 56%에 달하는 897매에 대하여 3년 이내의 범위에서 작성 연도 추정이 가능했던 것은 행정시설의 경우 관련 문헌이 다수 남아 있고, 시설의 연혁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행정시설의 세부시설 유형별 도면 작성연도 추정 현황  이미지

[그림3] 행정시설의 세부시설 유형별 도면 작성연도 추정 현황

[그림3]은 행정시설의 세부시설 유형별 도면 작성연도 추정 현황이다. 문헌 자료가 다수 남아 있고, 관련 연구도 많이 진행된 [대한제국행정시설]과 [조선총독부(광화문)] 관련 도면에서는 절반이 넘는 도면에 대해서 1년 이내 또는 2-3년 내의 구체적인 추정 작업이 가능하였다. 반면, [조선총독부(남산)]이나 [조선총독부(광화문)]의 경우에는 해당 청사의 준공 시점은 명확하지만, 그 설계 계획과 도면 작성이 그 이전의 어느 시점에 이루어졌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1년 이내의 추정이 어려우며 대다수의 도면이 2-3년 범위에서 연도가 확인되었다. 세부시설 유형 중 가장 많은 도면이 남아 있는 [지방행정시설] 도면의 경우에도 전체의 절반 정도의 도면(49.2%)에 대해서는 3년 이내의 추정이 가능하였으나, 주요 청사가 아닌 부속 건물에 대한 건립 상황은 문헌으로 확인되지 않아, 10년 단위의 추정을 할 수 밖에 없는 도면도 상당수이다.

2.1.2. 세부시설별 도면 현황

그림  행정시설의 세부시설별 도면 현황 이미지

[그림4] 행정시설의 세부시설별 도면 현황

세부시설별로 도면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장된 도면 중 단일시설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지방행정시설]이다. [지방행정시설] 도면은 전체의 41.3%인 994매로 가장 많이 남아 있을뿐더러, 전 시기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1910년대에는 증축 도면이 많이 남아 있으며, 1930년대에는 신축 도면이 대대수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영림서 등의 [기타행정시설] 도면이 396매(16.4%), 광화문의 조선총독부 청사 도면이 301매(12.5%)가 소장되어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1910년 강점 이전의 건축도면도 339매(14.1%)가 소장되어 있다는 점으로, 이중 227매는 대한제국의 행정시설 건축도면이고 112매는 통감부의 시설 건축도면이다. 이외에 남산의 조선총독부 청사 관련 도면이 107매(4.4%), [일반행정시설] 도면이 130매(5.4%), [세무행정시설] 도면이 105매(4.4%), 기타 도면이 36매(1.5%) 소장되어 있다.

한편, 시기별로 세부시설의 도면 소장 현황을 살펴보면, 행정조직 개편의 역사적 흐름에 따라 도면이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10년대 [지방행정시설]의 도면이 해당 시기 도면의 48.4%로 절반에 달하는 것은 강점 초기 지방에 대한 식민지배 확립을 서둘렀던 역사적 사실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 남산과 광화문의 조선총독부 청사의 도면이 32.1% 남아 있는 것은 1910년대 식민통치가 시작되면서 시급하게 정비되어야 했던 시설이 무엇이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1920년대의 도면 중에서도 역시 [지방행정시설]의 도면이 48.4%로 다수를 차지하며, 신축이 진행된 광화문의 조선총독부 청사 관련 도면이 31.3%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1930년대에는 도청, 부청 등의 신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지방행정시설] 도면이 절반을 넘는 56.9%의 비율을 보이며, 그 다음으로는 영림서 등의 [기타행정시설] 도면이 22.1%, [세무행정시설] 도면이 13.3% 남아 있다. 이는 1930년대 행정시설 기능의 분화를 잘 보여주는 수치이다.

2.1.3. 공사 유형별 도면 현황

행정시설의 공사유형별 도면 현황 이미지

[그림5] 행정시설의 공사유형별 도면 현황

행정시설에 관련된 도면 2,408매에 대한 공사 유형별 현황을 보면, [그림5]와 같다. 공사 유형은 실제로 분류한 내용을 압축하여, 기존의 현상을 기록한 도면을 [기존건물],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을 [건물신축], 건물을 증축하거나 개축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을 [건물증개축], 하수, 전기, 난방 등 설비에 관련된 도면을 [설비관련], 건물 내부의 각종 비품에 관련된 도면을 [비품관련]으로 묶어서 분석하였다. 이에 해당되지 않거나 도면의 작성 목적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불분명]으로 분류하였다.

전체 도면 중 가장 많은 것은 당연하게도 [건물신축]에 관련된 도면으로 전체의 68.5%인 1,649매가 확인되고 있다. 즉, 행정시설의 경우 새로운 건물을 신축하는 공사가 가장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1910년대 중앙 및 지방행정제도를 개편하고 식민지배를 확고히 하기 위한 행정시설을 대거 신축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행정조직이 신설되었던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건물증개축]에 관련된 도면도 418매로 전체의 17.4%에 달하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로 1910년대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모든 행정시설을 신축하지 못하고 기존의 건물을 고쳐 사용했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시기별 공사 유형 도면의 분포에서도 명확히 확인된다. [건물증개축] 도면의 비중은 1910년 이전의 도면들 중에서는 22%(82매), 1910년대에는 30.6%(215매)에까지 이르다가, 1920년대에는 6.5%(25매), 1930년대에는 5.3%(42매)로 그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즉, 식민통치가 안정된 1930년대에는 기존 건물을 증개축하기보다는 새로 건물을 신축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설비관련] 도면의 추이 역시 이러한 상황을 보여준다. 각 시기별 [설비관련] 도면의 비율은 1910년 이전에는 2.9%(11매), 1910년대에는 3.6%(25매), 1920년대에는 17.4%(67매), 1930년대에는 19.3%(152매)이다. 즉, 강점 후기로 갈수록 건물 그 자체의 건립에 더하여 전기, 난방 등 설비의 보급도 중요시되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1930년대 건축재료로 철근콘크리트가 보편화되면서 증기난방설비의 설치가 용이해졌다는 점과도 관련이 있는 부분이다.

이와 함께, 행정시설의 도면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점은 [기존건물]을 그린 현황도가 여러 시기에 걸쳐 등장한다는 점이다. 모두 22매가 확인되는데, 특히 1920년대에 6매, 1940년대에 7매가 확인된다. 이는 행정조직의 개편으로 인해 각 건물에 행정시설들이 대규모로 재배치되었던 상황을 말해주는 것으로, 1926년의 조선총독부의 이전 및 1940년대의 전시 상황과 관련된 행정조직의 개편이 이와 관련되어 있다.

2.1.4. 지역별 도면 현황

행정시설 도면의 지역별 도면 현황을 보면, 전체 2,408매의 도면 중 [서울] 지역의 소재했던 시설에 대한 도면이 1,082매(44.9%)로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조선총독부를 비롯한 상위의 행정조직이 경성에 밀집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방의 경우를 살펴보면, 평북(212매, 8.8%), 함남(148매, 6.1%), 평남(123매, 5.1%)의 순으로 다수의 도면이 확인된다. 다음으로는 대전충남의 114매(4.7%), 부산울산경남의 105매(4.4%), 강원의 103매(4.3%)이다. 이렇게 남쪽 지역보다 북쪽 지역에 대한 행정시설 도면이 많은 것은 만주 및 중국과 관련하여 북부 지역의 행정적 정비가 더 중요했던 역사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또, 일본 지역에 건립된 도면이 98매 확인되는데, 이는 조선총독부가 동경에 건립하였던 출장소로 인한 것이다. 한편,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된 표준도면인 [공통도면]도 40매(1.7%)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특히 군청과 같은 행정시설의 경우 전국에 다수의 청사를 빠르게 짓기 위하여 활용된 것이다.

행정시설의 지역별 도면 현황 이미지

[그림6] 행정시설의 지역별 도면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