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의료 >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

의료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은 함경북도 청진 지역의 대규모 의료시설로 1943년 11월에 국유지 15,000평 대지를 받아 개원하였다. 설립 목적은 청진 지역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나남도립의원을 방문해야 하는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지만, 당시의 적십자사 구호활동이 군대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대륙에서의 일본군의 전장 지원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에 관련된 208매의 도면이 소장되어 있다.

명칭 연도 도면수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 1943 ~ 1945 208매

청진은 1908년의 개항(開港) 이후로 급성장한 도시로서, 일본의 대륙진출 이후에는 일본- 러시아 간의 주요 항구이자 만주와 국내 간의 철도거점으로 성장하여 물자의 집산과 교역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성장으로 인해 의료시설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고, 1940년경에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 청진병원(이하, 청진병원으로 칭함)에 대한 건립 결정을 내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청진병원은 청진부(淸津府) 동수남정(東水南町) 623번지에 정사각형에 가까운 부지를 조성하고 병원시설을 계획하였다.([도판1] 참조) 부지 내에는 기존에 건립되어 있었던 일련의 건물군들이 있었으며, 부지의 왼쪽에는 1938년에 설립인가를 받고 개교한 ‘청진공립수산학교’가 인접하고 있었다. 사각형의 반듯하고 평탄한 부지와 직교형의 도로체계는 당시의 청진의 도시계획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청진병원 건물의 최초의 계획안은 [도판2]에서 살펴볼 수 있다. 아랫부분(북쪽)의 정문을 향하여 본관이 배치되었고, 그 뒤편으로 각종 병실들이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위쪽으로는 관사가 병원 부지 내에 함께 계획되어 있었다. 병원 건물들은 장기적인 증축을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최초의 건립 계획은 본관을 신축하고, 그 뒤쪽에 두 개의 병동을 오른쪽 편에, 간호부숙사를 왼쪽 편에 건립하고 중앙부에 취사장과 기관실을 두는 것이었다. 모든 건물은 복도로 연결되었다. 정문이 북쪽에 있기 때문에 본관은 북향으로 계획되었지만, 병실 등의 건물은 복도를 북쪽 편복도로 계획하여 남측으로부터 채광을 받도록 계획하였다.

다음 단계로는 전염병동과 시실(屍室)을 신축하고 관사 일체를 차기 건립대상으로 계획하였다.([도판3] 참조) 전염병동은 일반 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병원 부지에서 가장 안쪽에 계획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모든 방향으로부터 출입이 가능한 사각형의 평탄한 부지에 계획된 청진병원에서는 접근동선이 가장 적은 12m 도로변(부지의 서남편)에 담장으로 구획된 전염병동을 계획하고 별도의 출입구를 신설하고 있다. 전염병동의 남쪽으로는 소독실, 소각장을 경계로 시실을 계획하였으며, 역시 별도의 출입구를 계획하였다. 대지의 동남쪽에는 관사를 계획하였다. 가장 큰 원장관사부터 사무장, 약제장 및 각 의장(医長)관사를 독채로 줄지어 계획하였고, 판임관사와 고원(雇員)관사는 공동욕장을 경계로 연립건물로 계획되었다.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면에서 확인되는 병원 계획의 최종 형태는 [도판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관 전면에 자동차 진입을 고려한 포장 진입로를 계획하여 본관의 위상과 정면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온실, 빙고(氷庫), 석회치장(石灰置場)을 추가로 계획하였다. 관사구역을 보면 기존의 연립형으로 계획되었던 판임관사와 고원관사가 개별 마당과 현관이 있는 독립형으로 변경되어 있다.

청진병원의 본관은 2층의 벽돌조 혼용 철근콘크리트조의 건물로서 곡선을 배재하고 평지붕과 높은 시계탑을 가진 모더니즘 경향의 건물로 계획되었다.([도판5] 참조) 1930년대에 철근콘크리트 공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면서 내화성, 구조적 내력성, 시공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벽돌조 수직구조체(기둥, 벽 등)와 철근콘크리트의 바닥판(보를 포함)이 결합되는 양상이 적용된 결과이다.([도판6] 참조) 보와 일체화된 바닥판이 벽돌조 벽체 위에 올라타고 그 위에 상층부 벽체가 다시 세워지도록 계획하였다. 건물의 전면에는 타일을 붙여 통일성 있게 계획하고 1층과 2층의 창문을 요철이 있는 입면으로 연결하여 수평적 건물 입면에 반복적 요소를 가미하였다. 주 현관에는 철근콘크리트의 캐노피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박공 장식을 갖는 이전 시기의 병원 본관에 비하여 현관부가 두드러지게 드러나지는 않지만, 건물의 중앙부에 60.5척(18.15m)의 시계탑을 계획하여 중앙부가 명확하게 강조될 수 있도록 하였다.([도판7] 참조) 시계탑은 내부의 돌음 계단을 두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는데, 시계탑의 계단은 본관의 내부계단과는 연결되지 않아 시계탑이 기능성보다는 의장적 요소로서 세워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1,2층의 수평성과 시계탑의 수직성이 크게 대비됨으로써 건물의 상징성과 중심성을 드러낸 것은 다른 병원뿐만 아니라 당시의 관영건물과도 크게 구분되는 입면 계획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도판8][도판9]에서 본관의 평면을 살펴보면, 내과, 뢴트겐, 외과, 부인과 진료실이 1층에, 치과, 소아과, 안과, 피부과, 이비과 진료실이 2층에 계획되었고, 2개의 대형 수술실과 약국은 1층에, 의국(医局), 원장실 및 회의실은 2층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진병원의 진료실은 자혜의원 등 이전 시기의 병원 보다 조직화된 진료실 구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 과의 진료실은 대합실, 진찰실(또는 진료실) 그리고 수술실(또는 처치실)이 바로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대기·진료·처치 공간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 있다. 평면 계획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각 층에 계획된 ‘준방호실(準防護室)’이다. 1층에는 본관의 좌측편 복도에 계획되었고, 2층에서는 안과 일부와 의국을 합하여 계획되었다. 화재, 전쟁 등의 재난에 대응하는 안전대책이 건축계획에 반영된 것으로 당시의 전시상황을 반영하는 특별한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본관의 옥상에는 적십자마크를 바닥마감재로 크게 표기한 것이 특징이다.([도판10] 참조) 홍색 타일로 적십자를 표현하고 인조석으로 크림백색의 바탕을 구성하여 적십자기를 형상화하였다.

병실은 본관 후면의 꺾인 날개채와 연결되어 있으며, 2개의 一자형 건물이 복도로 연결되어 ㄷ자형을 구성하였다.([도판11] 참조) 1인실, 2인실, 6인실의 병실이 병실 2개동에 동일하게 계획되어 있으며, 병실 건물 연결부에는 세면장, 욕실 등의 부속시설을 배치하고 배선실(配膳室)을 통해서 취사장으로부터의 음식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배선실에는 신속한 음식 운반을 위하여 리프트가 계획되었다.([도판12] 참조) 사람이 타지 않는 소형 화물용이기 때문에 1층 바닥과 옥상 바닥 사이에 피트(PIT)와 기계실이 구성되었다. 구조화된 도르래가 기재된 것으로 보아 전동으로 구동되는 리프트였음을 추정할 수 있다.

간호부숙사는 본관 후면에 병실과 대칭하여 계획되었는데, 병실 건물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一자형 건물이 복도로 연결된 ㄷ자형으로 계획되었다.([도판13] 참조) 각 실은 미닫이문이 있는 다다미방으로 계획되었으며, 창문 밖으로는 작은 발코니를 두어 입면을 구성하였다.([도판14] 참조) 벽돌조 벽체에 철근콘크리트 보를 걸고 목조 바닥틀과 지붕틀을 조합하여, 본관과 병실의 건축구법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참고도판]
  • 도판1.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부지정지공사설계도/1,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2.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일반표준구계도/일반15,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3.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전염병동기타신축공사/배치도/1,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4.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온실기타신축공사설계도/배치도,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5.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본관정면급배면자도/본관9,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6.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일반표준구계도/일반15,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7.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정면입구평면자도탑실평면단면)/본관 / 16,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8.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일계급지계평면/본관(2),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9.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이계평면(본관)/본관3,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0.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옥계평면/탑옥평면/무개통로상세/본관4,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1.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병동일계평면/병동5,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2.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설계도/(배선실전화교환실리프트실)/취기43,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3.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전염병동기타신축공사설계도)/간호부기숙사(평면도), 194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14. 일본적십자사조선본부청진병원신축공사/간호부숙사구계도/ 간숙52, 1943년 추정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