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의료 > 광주자혜의원

의료

광주자혜의원

광주자혜의원은 1910년 각 도에 설치되었던 관립의원 중 하나로 1910년 9월 21일 개원하였다. 광주자혜의원은 1925년 4월 1일 「조선도립의원관제(朝鮮道立醫院官制)」 및 「도립의원규정(道立醫院規程)」이 시행되면서 도립의원으로 개편되어 운영되어 오다가 현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에 이르고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광주자혜의원에 관련된 54매의 도면이 소장되어 있다.

명칭 연도 도면수
광주자혜의원 1910,09 ~ 1925.03 54매

광주자혜의원은 개원 초기 도청부지 서쪽에 위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도판1]에서 개원 당시의 모습으로 보이는 배치도를 볼 수 있다. 부지는 북서향을 하고 있고, 남북으로 길고 안쪽이 좀 더 넓은 모양이다. 부지 동쪽으로는 도청부지가 표시되어 있고 서측으로는 부지 경계선을 따라 도로가 있으며, 남쪽으로는 다른 부지와 면해 있다. 부지 전면으로 관리실이 배치되었고, 그 뒤로 온돌병실과 보통병실이 복도로 연결된 채 계획되었다. 그 뒤로 거리를 두고 전염병실이 울타리로 격리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좌측으로는 창고와 간호부 기숙사가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후 광주자혜의원은 1913~14년경 새로운 부지로의 이전을 계획하였다. [도판2]는 이전 계획 당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대지 위에 부지 영역을 설정하고 건물을 배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아직 부지 안을 관통하는 기존 도로들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전하기 위해 계획된 도면으로 판단된다. 부지는 북서향의 대지로 부지정리를 하면서 북쪽과 서쪽으로 넓은 도로를 계획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건물은 빗금, 실선, 점선으로 구분되어 그려져 있다. 빗금으로 표시된 건물은 먼저 건축된 건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실선은 증축 분을, 점선은 추후 추가될 건물을 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부지의 전면으로 본관이 계획되었고, 그 뒤로 숙직실과 병실이 복도로 연결되었다. 이와 떨어져 남동쪽으로 거리를 두고 전염병실이 계획되었고, 남쪽에는 시료병실이 거리를 두고 계획된 것을 볼 수 있다. [도판3]은 1914년에 제작된 배치도이다. 대지 안에 기존의 도로가 아직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실제 시공이 아닌 계획 단계의 도면으로 볼 수 있다. [도판2]와 비교하면 기존 본관 앞으로 더 큰 규모의 본관이 계획되어 있는 것이 가장 큰 변화이며, 간호부 기숙사도 규모를 더 크게 하여 시료병실 뒤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 계획 역시 실제로 반영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도판4]는 1915년의 의원 배치를 보여주는데, 이 도면에는 [도판4]에 기재되어 있는 대형의 본관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도면에서 재래건물(在來建物)은 빗금으로 표시되었는데, 본관, 부속건물인 시료진찰실(본관 좌측), 본관과 복도로 연결된 숙직실과 병실 1동, 그리고 남동쪽에 있는 전염병실이 먼저 지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 이후 1914년에 지어질 건물은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판3]의 본관은 표시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전 당시 일시적으로 계획되긴 하였으나 실제로는 시간이 좀 더 지난 뒤에 건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23년에 작성된 [도판5]에서 확인되는데, 기존의 본관이 진찰실로 사용되고 그 앞으로 본관이 신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 병실은 2동으로 증축되어 본관과 복도로 연결되었고, 간호부기숙사는 담으로 둘러 별도의 영역을 형성되어 있었음도 볼 수 있다.

[도판6]은 초기 계획된 본관의 설계도이다. 단층 목조건물로 경사지붕을 사용하였다. 좌우의 전면부가 돌출되었고 전체 평면과 입면은 좌우대칭으로 구성되었다. 각 과의 진료실, 사무실, 약국 등이 복도를 중심으로 앞뒤로 배치되었다. [도판7]은 병실의 설계도이다. 목조 단층건물이며 좌우로 길게 계획되었다. 전면으로 복도를 두고 배면으로 각 실을 배치하였다. 병실의 크기가 큰 것으로 보아 여러 명이 사용하는 공동 병실로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 좌우로는 공동 화장실과 욕실을 배치하였다. [도판8][도판3]에서 확인하였던 신축 본관의 설계도이다. 벽돌조 2층 건물로 계획되었으며, 전면의 현관을 돌출시키고 현관 상부에 박공을 설치하여 건물의 중심성을 강조하였다. 기존의 본관에 있던 원장실과 약국, 내과 등은 신축 본관으로 모두 이전되었고 이외에 식당과 교육시설 등이 추가되었다. 복도를 가운데 두고 각 실을 양쪽에 배치하는 중복도 형식으로 계획되었으며, 좌측으로 부속건물을 두어 화장실로 사용하였다. 같은 시기 간호부기숙사도 증축되었다.([도판9] 참조) 본관처럼 2층으로 계획되었으나 벽돌조가 아닌 목조 건물로 설계되었다. 전면에 복도를 두고 뒤로 각 실을 배치하였다. 욕실과 화장실은 공동으로 사용하였으며, 건물 오른쪽에 단층으로 된 부속건물로 계획되었다.

[참고도판]
  • 도판1. 전라남도자혜의원판병기타신설설계도/3, 1910-1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2. 광주자혜의원시료부진찰실신축공사배치/1-2, 1913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3. 광주자혜의원증축공사배치도/1, 1914상세보기
  • 도판4. 광주자혜의원증축공사배치도/18, 1915상세보기
  • 도판5. 광주자혜의원통용문이설기타공사설계도, 1923 상세보기
  • 도판6. 광주자혜의원증축설계도/본관각부평면급건도/6, 1914상세보기
  • 도판7. 광주자혜의원증축설계도/14, 1914상세보기
  • 도판8. 광주자혜의원신축설계도/1, 1922상세보기
  • 도판9. 광주자혜의원간호부기숙사신축설계도/기1, 1922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