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의료 · 세관 > 의료 > 수원자혜의원

의료

수원자혜의원

수원자혜의원은 1910년 각 도에 설치되었던 관립의원 중 하나로 1910년 9월 5일 개원하였다. 이후 1925년 4월 1일「조선도립의원관제(朝鮮道立醫院官制)」및「도립의원규정(道立醫院規程)」이 시행되면서 도립의원으로 개편되어 운영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수원자혜의원에 관련된 37매의 도면이 소장되어 있다.

명칭 연도 도면수
수원자혜의원 1910.09 ~ 1925.03 37매

수원자혜의원은 평양자혜의원과 마찬가지로 대한제국의 왕실시설을 전용하여 사용한 의료시설이다. 1910년 정조의 위패를 모시고 어진을 봉안하던 정조의 사당이었던 화령전(華寧殿)에서 개원을 하였다. 그러나 건물의 구조적인 특성과 협소한 부지로 인하여 곧 이웃해 있던 화성행궁(華城行宮)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개원 당시의 도면은 남아있지 않아 화령전에서의 운영 모습을 알 수 없다. 반면, 행궁으로 이전한 이후의 모습은 여러 도면에서 확인되는데, [도판1]에서 정전 건물이었던 봉수당(奉壽堂)의 사용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건물을 자혜의원의 본관으로 사용하였는데 가운데에 대합실을 두고 왼쪽에 사무실, 오른쪽에 약국을 두었다. 뒤에 있던 장락당(長樂堂)에는 진료실을 두었는데 부인(婦人)진료실은 따로 두었다. 병원시설로 변경하면서 벽체와 창호들이 교체되었다. 우측 도면이 이를 위한 계획도이다. 건물 오른쪽의 마공실(磨工室)은 기존 건물을 확장해서 사용하였고 그 모습은 도면의 우측 하단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도판2]에서는 본관 주변 건물의 사용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본관 왼쪽의 복내당(福內堂)과 행각은 조선인 병실과 부인병실로 사용하였고, 오른쪽의 득중정(得中亭) 영역은 일본인 병실로 사용하였다. 본관 뒤로는 수술실 건물을 신축하여 복도로 연결하였다. 복내당 앞의 유여택(維與宅) 건물은 특별병실로 사용하였다.

수원행궁의 건물을 병원으로 전용해 운영되던 수원자혜의원은 1923년경에 이르러서는 대대적인 시설의 변화를 계획하였다. 대부분의 행각을 헐어내고 기존의 본관 앞에 새로운 본관 및 병실을 건축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는데, [도판3]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흐린 선이 헐려나간 행각들을 보여주며, 진한 실선이 신축건물을 나타내고 있다. 기존의 본관은 병실로 용도를 바꾸었고, 특별병실로 사용되던 유여택 일곽은 전염병동으로 바뀌었다. 일본인 병실은 간호부 기숙사로 바뀌었다. 본관의 변화는 [도판4]에서 보다 자세히 볼 수 있다. 벽의 위치를 조정하여 각 실의 배치를 바꾸어 병실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신축하는 본관과 연결하는 복도가 추가되었고, 우측의 병동과도 복도로 연결되었다. [도판5]는 기숙사와 다른 병실의 변경계획이다. 간호부 기숙사의 경우 날개채 한쪽을 헐어내고, 각 실과 복도의 위치를 뒤바꾸어 실을 재배치하였다. 시료병실에서는 처마 밑으로 복도를 덧달아내 건물을 확장하는 계획을 볼 수 있다. [도판6]은 ‘수원자혜의원본관신축설계도’이다. 목조 2층 건물로 외벽은 벽돌로 치장하여 마감하였는데, 이러한 계획 방식은 보기 드문 특이한 사례로 당시에는 잘 사용되지 않던 형식이다.([도판7], [도판8] 참조) 좌우로 긴 장방형의 건물로 전면 중앙 현관부분은 돌출시키고 상부에 박공을 구성하여 장식하였다. 출입문과 상부의 창문에는 원형아치로 꾸며 입면구성에 변화를 주었다. 지붕에는 돌출창을 두었고 난방을 위한 벽난로 굴뚝이 곳곳에 솟아 있었다. 1층에는 각 과의 진료실과 약국이 있었고, 오른쪽에는 시료 진료실을 두어 일반 진료구역과 구분하였다. 특이한 점은 현관에 벗어놓은 신발을 보관하는 공간(下足長)이 있어 본관 내에는 신발을 벗거나 갈아신고 출입하도록 계획되어 있다는 점이며, 다른 자혜의원 본관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방식이다. 2층에는 원장실, 식당, 각종 시험실, 의국 등이 배치되었다. 건물의 난방을 위해서는 벽난로가 계획되었다. [도판9]는 신축병동의 도면이다. 목조 단층 건물이며 시멘트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외벽을 마감하였다. 공동으로 사용하는 화장실은 창고와 함께 건물 오른쪽 끝에 배치되었다.

수원자혜의원의 건축도면은 비록 충분하게 자료가 남아있지는 않지만, 평양자혜의원과 함께 한옥을 수선하여 근대적 의료시설로 사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참고도판]
  • 도판1. 수원자혜의원수선공사도/25, 1919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2. 수원자혜의원수술실증설급모양체수선공사도/26, 1919년 추정상세보기
  • 도판3. 수원자혜의원부지배치도/34, 1923상세보기
  • 도판4. 수원자혜의원병실기타증축모양체공사설계도/14, 1923상세보기
  • 도판5. 수원자혜의원병실급숙사증축모양체지도/16, 1923상세보기
  • 도판6. 수원자혜의원본관신축설계도/1, 1923상세보기
  • 도판7. 수원자혜의원본관신축공사설계도/4, 1923상세보기
  • 도판8. 수원자혜의원상가복기타지도/2, 1923상세보기
  • 도판9. 수원자혜의원병실신축지도/13, 1923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