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개성과 김천, 인천에는 소년형무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개성 소년형무소는 1921년 설치된 경성감옥 개성분감이 1923년 총독부령 제72호에 의해 개편된 것으로, 1921년 설치 당시부터 소년 감옥으로 운영되었다. 형기 1년 이상의 조선인 남자 18세 미만 수형자를 구금하던 감옥이으로, 구내는 7,215평, 구외 면적은 15,243평이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관련된 도면 32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명칭 | 연도 | 도면수 |
---|---|---|
경성감옥 개성분감 | 1921.03 - 1923.04 | 19 |
개성소년형무소 | 1923.05 - 1945.08 | 13 |
[도판1]은 ‘개성분감 신축 배치도’로 분감이 설치될 당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계획도이다. 행형 구역은 후면이 각진 오각형 형태로 계획되었으며, 전면의 담장 바깥쪽에 청사와 좌우에 긴 창고가 계획되었다. 이는 소년감옥의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점으로 외관상 형무소의 이미지를 주지 않기 위함이었다. 청사의 바로 뒤쪽 담장 안에는 간수소가 설치되었으며, 대각선상으로 이어지는 두 개의 감방이 배치되었다. 감방의 뒤쪽으로는 교실과 교회당 건물이 배치되었는데, 행형시설에 ‘교실’과 같은 시설이 계획되는 것 또한 소년감옥의 특징적인 점이다. 감방의 좌우로는 공장이 계획되었고, 간수소의 좌우에는 취사장, 의무실, 병감, 욕실이 배치되었다.
[도판2]와 [도판3]은 두 감방의 계획도이다. [도판2]는 서익(西翼)의 감방으로, 감방에는 60개의 독거방(獨居房)과 8개의 잡거방(雜居房), 1개의 징벌감(懲罰監)이 있었다. 독거방의 면적은 79작(勺), 잡거방의 면적은 4평60작이었다. [도판3]은 반대편 동익(東翼) 감방의 모습으로, 40개의 독거방과 12개의 잡거방, 1개의 징벌감이 배치되었다. 두 감방 모두 목조 단층 건물로 설계되었으며, 중앙 복도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채광창이 계획되었다. 감방의 중간에는 교실과 공장으로 이어지는 통로가 계획되었는데, 이 각각의 통로에 세면대가 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도판4]는 두 감방을 연결하는 중앙간수소의 계획도이다. 감방이 목조로 계획된 것에 비해 중앙간수소는 벽돌조 단층 건물로 계획되었다. 박공이 전면을 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내부에는 사무실, 휴게실, 중앙간수소 등이 배치되었다.
[도판5]는 중앙간수소 전면 담장 바깥쪽에 위치한 청사의 설계도이다. 청사 역시 벽돌조 단층 건물로 설계되었으며, 현관 상부의 곡선형의 박공 장식을 제외하면 매우 단순하게 계획되었다. 내부에는 十자형의 복도를 두고, 네 모서리에 개실을 계획하였는데, 전면부에 사무실과 분감장실, 응접실이 있었고, 후면에 대기실(人民扣所), 조사실(調所), 숙직실, 감정실(監丁室) 등이 계획되었다.
1923년 5월 개성소년형무소로 개칭된 이후, 형무소는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는데, 그 과정을 1926년의 [도판6], 1927-31년경의 [도판7], 1932년의 [도판8], 1935년의 [도판9]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판6]은 형무소의 공장을 증축하기 위한 도면으로 포함된 배치도에서 형무소로의 개편 이후 초기의 변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주된 증축 내용은 동서의 두 공장과 취사장을 증축하는 것이다. 이는 재감자(在監者)가 꾸준히 늘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판7]은 작성연도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도면의 내용상 [도판6]과 [도판8] 사이의 기간 동안의 변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판1]과 비교해서 보면, 초기 계획된 건물 중 교회당(敎誨堂)이 건설되지 않았음을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교회당의 건립 위치가 교장(敎場)의 전면으로 옮겨졌으며, 후면에는 담장의 꺾임을 따라, 추가적인 감방과 공장이 건립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증축한 이후에도 재감자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1932년에는 공장 1동을 더 신축하는 한편, 후면으로 부지를 더 확대하게 되는데, 그 내용을 [도판8]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확장된 부지에는 의무실과 병감이 이전(移轉) 신축되었음을 [도판9]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