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해제 > 행형 > 목포형무소

행형

목포형무소

광주감옥 목포분감은 통감부령(統監府令) 제31호에 의하여 1909년 11월 설치되었다. 개청 당시에 있어 목포분감은 제국영사관소속의 감옥을 이사청(理事廳)감옥으로 사용했던 것을 사용하였는데, 재감자의 증가로 협소하게 되어, 간척지를 매립하여 신축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에 1913년 기공하여 1914년에 신축 이전하게 된다. 이후, 1920년에 본감(목포감옥)으로 승격되었다. 1923년 5월 5일에는 총독부령 제72호에 의하여 목포형무소로 개칭되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관련 도면이 47매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명칭 연도 도면수
광주감옥 목포분감 1909.11 - 1920.09 31
목포감옥 1920.10 - 1923.04 4
목포형무소 1923.05 - 1945.08 12

목포분감은 1914년 재감자의 증가로 신축이전하게 되는데 이전하기 전의 전체적인 모습이 남아있는 도판은 남아있지 않아 살펴보기 어렵지만, 새로운 부지로 이전하기 위해 작성한 건물 도판에 있는 재래(在來)건물의 평면도에서 건물의 생김새 정도만 파악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도판16], [도판17] 참조)

[도판1]은 1914년 감옥이 이전할 당시 부지조성을 위해 작성된 ‘목포분감 부지설계 평면도’이다. 동향(東向)한 직사각형 대지에 전면으로 국도가 지나간다. [도판2]는 ‘목포분감 감방기타 이축 및 증축공사 설계도’로 이전 초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건물인 사무실, 감방, 병감 외에 공장, 감방, 구치감 등을 증축하는 계획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모습은 이후의 배치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좌측으로 부지를 확장하면서 사무실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도판3]에서 기존의 감방의 모습이 바뀐 것과 부지의 좌측이 확장된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건물의 증축과 신축이 계획되는 것을 [도판4], [도판5], [도판6]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당시의 대략적인 분감의 배치를 [도판5]에서 살펴보면, 정문을 들어서면 담으로 구분된 청사(사무실)의 영역이 있고 그 우측으로 구치감 영역이, 좌측으로 여감(女監)영역이 있다. 그 뒤의 나머지 영역은 감방 영역인데 두 동의 감방이 나란히 연결된 모습이 보이며, 취사장과 욕실, 공장 등의 건물이 배치되어 있다. 1919년 5월에 제작된 [도판7]은 가(假)감방의 신축에 관한 것이다. 북쪽으로 부지를 확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같은 해 12월에 제작된 [도판8]에서도 좌측으로 부지를 확장하려는 계획을 볼 수 있다. [도판7]에서 가감방의 신축은 분감을 확장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한 것이며, 1920년에 제작된 [도판8]에서 보듯이 부지 확장 후 가감방은 없어지고 감방이 지속적으로 증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늘어난 감방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간수소가 신축되며([도판9], [도판10] 참조), 확장된 부지에는 공장이 신축되고, 크고 작은 증축이 이루어진다. [도판11]. [도판12]에서는 중앙간수소 아래로 감방을 신축하여 계속해서 감방의 수를 늘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판13]에서도 계속해서 건물의 증감과 위치의 변경 등을 통해 감옥을 정비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정비계획은 이후 1924년 제주지소의 폐지로 그 곳의 건물을 이전하여 사용하게 되면서 일부 수정을 하게 된다. [도판14]에서 제주지소의 건물을 이전하여 목포형무소에서 공장과 감방으로 활용하려는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1928에 제작된 [도판15] ‘목포형무소 표문(表門)기타 신축공사설계도’에서는 부지 확장 이후 정비된 건물의 배치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우측 상단으로 약간의 부지를 확장하여 초탑(哨塔)을 신축한 것이 특이하다.

[도판16]은 1913년에 제작된 ‘창고 이축 설계도’로 기존의 건물을 새로운 부지에 이전하는 계획을 담은 도면으로 앞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 건물의 도면이 함께 기재되어 있어 분감이 이전하기 전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나마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재래 감수(監守)휴게소가 기록되어 있는데, ㄱ자로 된 5칸의 건물에 기와로 지붕을 마감한 한옥의 모습을 하고 있다. [도판17]도 1913년에 제작된 ‘목포분감 공장이전 기타설계도’로 기존의 건물의 평면을 일부 변경하여 이전하여 사용하려는 계획을 담고 있다. [도판18]은 이전 초기의 감방의 도면으로 두 개의 동을 회랑을 통해 연결시키고 그 한쪽 끝에는 기존의 청사 건물을 공장으로 변경하여 이전하여 연결을 하려는 계획을 확인 할 수 있다. 단층 목조 건물이며, 환기구를 감방 복도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도판19]는 1922년에 제작된 ‘목포감옥 감방 기타 신축공사 설계도’이다. 가운데 복도를 두고 양쪽으로 감방을 배치한 평면과, 환기창이 지붕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것은 여느 감옥과 비슷하나 석조(石造)로 된 것이 특이하다. 당시 감옥 부근 서남쪽에 감옥 소유의 산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석재가 많이 나와 이를 활용하여 건축하였다고 한다. [도판20][도판21]은 제주지소의 건물을 이전하여 사용하기 위해 작성된 도면이다. 모두 단층 목조건물이며, 감방과 공장에 관한 기록이다. [도판22]는 1928년에 제작된 ‘목포형무소 표문 기타 신축공사 설계도’이다. 연와(煉瓦)조가 아닌 석조로 된 것이 특이하다.

[참고도판]
  • 도판1. 목포분감부지설계평면도/23, 1913년경상세보기
  • 도판2. 목포분감감방기타이축급증축공사설계도/28, (추정)1913상세보기
  • 도판3. 목포분감구건물이전모양체기타배치도/9, (추정)1913-19상세보기
  • 도판4. 목포분감건물전휴배치도/31, (추정)1913-19상세보기
  • 도판5. 목포분감청사기타이축공사건물배치급하수평면도/24 (추정)1913-19상세보기
  • 도판6. 목포분감공장증축배치도/1, (추정)1913-19상세보기
  • 도판7. 목포분감가감방신설기타공사배치도/3, 1919상세보기
  • 도판8. 목포분감확장지균공사평면도/6/1, 1919상세보기
  • 도판9. 목포분감감방신축기타공사배치도/8, 1920상세보기
  • 도판10. 목포분감중앙간수소신축배치도/5, (추정)1920상세보기
  • 도판11. 목포감옥창고신축기타공사배치도/7, (추정)1921-22상세보기
  • 도판12. 목포감옥감방신축기타공사배치도급갱 장신축설계도, (추정)1922상세보기
  • 도판13. 목포감옥배치도/4, (추정)1922-23상세보기
  • 도판14. 목포형무소(원제주지소분)감방외3렴이축기타공사배치도/2, (추정)1924상세보기
  • 도판15. 목포형무소표문기타신축공사설계도/배치도/1, 1928상세보기
  • 도판16. 목포/물치이축설계도/15, 1913상세보기
  • 도판17. 목포분감공장이전기타걸계도/10, 1913상세보기
  • 도판18. 목포분감감방신축설계도/기1/5, (추정)1913-19상세보기
  • 도판19. 목포감옥감방기타신축공사설계도/2, 1922상세보기
  • 도판20. 목포형무소공장기타이축공사설계도/원제주지소분/5, (추정)1924년상세보기
  • 도판21. 목포형무소원제주지소분감방이축모양체공사설계도/6, 1925상세보기
  • 도판22. 목포형무소표문기타신축공사설계도/12, 1928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