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경성세무감독국

경성세무감독국은 조선총독부의 제2차 세제정리(稅制整理)에 따라 설치된 기관이다. 1934년 4월 28일 칙령 제112호로 제정 공포한 <조선총독부 세무관서 관제(朝鮮總督府稅務官署官制)>에 의해 중앙의 총독부 재무국 세무과를 정점으로 지방(경성, 평양, 함흥, 대구, 광주)에 5개 세무감독국과 그 산하에 99개 세무서가 설치되었다. 세무감독국에는 서무과와 세무과(직세과, 간세과), 경리부(징수과, 회계과)를 두어 1943년 11월 30일까지 세무업무를 관장하였다. 이때 설치된 세무감독국과 세무서는 종래 지방행정기관에서 장악하고 있던 징세행정을 독립된 세정전담기구인 세무감독국 및 세무서에서 전담토록 함으로써 이로 인해 근대적인 조세행정기반이 마련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당시 설치된 세무서는 오늘날 국세청 하부조직인 세무서의 모체가 되었다. 경성세무감독국의 관할구역은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강원도였으며, 관할 세무서는 경성 외 26곳에 해당하였다. 세무감독국은 1943년 조선총독부령 제370호에 의해 창설 9년 만에 폐지되었으며, 이후에는 각 도에 재무국(財務局)을 설치하여 세무행정을 관장토록 하였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1936년 경성세무감독국 건립 당시의 도면 22매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경성세무감독국 소장 목록
명칭 연도 도면수
경성세무감독국 1934-1943 22

경성세무감독국의 위치는 태평통 1정목이며 전 조선토지개량주식회사 청사가 있었던 자리였다. 1936년 3월 21일에 착공하여 같은 해 10월 20일 준공되었다. 총 건축면적은 463.16평(1,528㎥)이며, 지하1층과 지상3층으로 계획되었으며, 총 공사비는 94,063원(圓)이 소요되었다. 건물의 구조는 벽돌조이지만, 계단과 옥상의 바닥층은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도판1]은 '경성세무감독국청사 오수정화조 신축공사 배치도'로 경성세무감독국 건물에 대한 배치와 입지에 대한 당시의 계획상을 알려주는 도면이다. 전면으로 태평로를 바라보고 있으며, 북쪽의 청계천과 경성부청 후면의 도로 및 이면도로와의 관계가 모두 기재되어 있다. 청사의 전면은 태평통에 바짝 붙여 전면에 마당을 별도로 두지 않고 대로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포치(Porch)를 배치하였다.

[도판2][도판3]에서는 현관부와 각 층의 단면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현관부분의 지붕은 평지붕의 우수처리를 위해 구배를 두고 방수처리를 하였다. 현관내부는 타일로 마감하였음이 확인된다.([도판2] 참조) 각 층의 구조단면을 살펴보면, 벽돌조의 벽체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연결 상세가 확인되며, 옥상층의 바닥판에는 특별히 빗물처리를 위해 구배를 두고 배수동관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부에 방수층(防水層)을 시공하고 콘크리트 블록(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을 덮어 마감하였다. 패러핏의 안쪽에는 벽돌벽체 바깥쪽에 방수층을 시공하고 방수모르타르(防水モルタル)를 발라 마감하였다.

[도판4]에서는 입면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청사의 입면은 외장을 타일로 마감하였으며, 세로선을 강조하는 창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저층건물에 수직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중앙에 현관을 두고 좌우대칭으로 구성하여 중심성을 강조하는 전형적인 관공서 건물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또한, 1930년대 국제주의 건축양식이 보편화된 이후 관공서 건물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입면 계획의 기법인 단순화된 반복적인 입면 처리가 잘 나타나고 있다.

[도판5]에서는 지하층 구조와 기초계획을 확인할 수 있고, [도판6], [도판7], [도판8]에서 1,2,3층 및 옥상층의 평면계획을 살펴볼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모두 평면에 대한 계획도는 아니지만, 각 층의 평면 계획이 나타나 있는 도면들이다. 평면 계획의 주된 특징은 코어(Core) 계획의 개념이 반영된 것이다. 계단실과 변소의 공용공간 부분을 전체평면의 중심에 집약하고 있어 같은 면적에서 최대한의 사무공간을 확보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지하층은 평면 전체가 아닌 기관실(汽罐室) 부분만을 일부 계획하였는데, 기관실에서 바로 외부로 통하는 계단이 마련되어 있었다.([도판5] 참조) 지상1층의 현관을 들어서면 중앙에 계단실과 변소를 기준으로 왼쪽에 숙직실과 수부, 회계과, 상인대기실(商人溜)이 있었고, 오른쪽에 미수과(微收課), 제2식당, 전화교환실이 있었다. 2층에는 전면에 서무과, 식당, 부장실, 간세 및 감정과(間稅及鑑定課)가 있었고, 계단실과 인접한 후면에 국장실과 응접실이 배치되었다. 3층에는 계단실을 기준으로 양분하여 직세과(直稅課)와 회의실이 넓은 면적으로 계획되었고, 이 두 실 사이에는 전실을 두어 복도를 통하지 않고 바로 연결되도록 계획되었다.

[참고도판]

  • 도판1. 경성세무감독국청사오수정화조신축공사배치도 / 오수정화조배치도 / 22 , 1936 상세보기
  • 도판2.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현관기타상세도 / 7, 1936 상세보기
  • 도판3.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구계상세도 / 6, 1936 상세보기
  • 도판4.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설계도 / 정면급배면좌측면도 / 5, 1936 상세보기
  • 도판5.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내배치급현관단석기타공사일부변경도 / 일부설계변경기형복기타도 / 25, 1936 상세보기
  • 도판6. 경성세무감독국청사증기난방장치기타공사설계도 / 각부평면도 / 25, 1936 상세보기
  • 도판7.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내철근콘크리트급스틸셔터기타공사일부설계변경도 / 일이계평면도 / 29, 1936 상세보기
  • 도판8. 경성세무감독국청사신축기타공사내상「신타콘크리트」기타공사일부설계변경도 / 일부설계변경도 / 34, 1936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