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부속기관·관측소

기타행정시설

조선총독부의 행정시설에 관련된 도면은 지금까지 소개한 이외에도 교학연수소(敎學硏修所), 착암공양성소(鑿岩工養成所), 방독검정실(防毒檢定室), 내무국 인천토목출장소(內務局 仁川土木出張所),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邊山森林保護員駐在所), 광릉삼림보호원주재소(光陵森林保護員駐在所) 등 조선총독부의 하부기관 산하조직의 건물에 대한 도면이 소장되어 있다. 상기시설에 관한 도면이 건축계획의 정황을 상세히 확인할 만한 수량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각각의 건물에 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 국가기록원에는 이러한 조선총독부의 산하조직 중 기타시설에 대한 도면이 모두 46매 소장되어 있으며, 각 시설과 도면수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기타행정시설 소장 목록
명칭 연도 도면수
조선총독부 교학연수소 1939-1942 15
조선총독부 착암공양성소 1938-1945 13
조선총독부 방독검정실 1940-1945 9
조선총독부 내무국 인천토목출장소 1924-1941 2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 1912-1945 6
광릉삼림보호원주재소 1912-1945 1

각 시설에 대하여 각기 자세한 정황을 살필 정도의 분량은 남아있지 않은 상황이다. 건축계획에 관한 주요 내용이 기재된 도면이 남아있는 경우는 조선총독부 교학연수소, 조선총독부 착암공양성소, 조선총독부 방독검정실,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에 해당하므로, 이 시설들을 중심으로 각각의 계획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총독부 교학연수소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부속기관으로 경성 삼청정(三淸町)에 설치되었다. 1939년 5월 13일 제1회 입소식을 개최하였으며, 당초에는 초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1942년부터는 중등 및 전문학교 교원으로까지 연수대상을 확대하였다. 1942년 12월 1일 학무국 내 사회과가 신설됨에 따라 교학연수소는 폐소되었다. [도판1]에서는 교학연수소의 배치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교학연수소는 북서향의 부정형 부지에 청사, 강당 및 교사(講堂及敎舍), 계도장(禊道場), 변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판2][도판3]에서 청사의 평‧입‧단면에 관한 상세한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청사는 단층의 목구조 건물로 계획되었고 양식지붕트러스에 일식기와로 마감하였다.([도판3] 참조) 평면은 중앙의 현관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며, 현관의 왼쪽에 직원실(職員室), 숙직실, 사무실, 소사실, 탕비실을 두었고 오른쪽에 소장실(所長室), 도서실, 창고(物置), 변소가 계획되었다. 소사실과 숙직실은 온돌로 계획되었고 후면의 복도를 통해 옆 건물로 연결되었다. 입면도에서는 지붕의 형태와 창문의 구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도판2] 참조) 외벽의 마감에 대해서는 [도판3]의 단면도를 통해 확인되는데, 외벽에 모르타르(モルタル)를 바르고 스프레이로 마감한 것으로 오늘날의 드라이비트(Dryvit) 공법에 해당한다.

[도판4][도판5]에서는 교학연수소의 강당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강당 또한 단층의 양식목구조 건물이며, 지붕은 양식지붕트러스에 일식기와로 마감하였다. 폭 36척(尺)×길이84척(약 10.8m×25.2m)의 장방형의 공간을 크게 강당과 교실의 2실로 구획하였다. 외벽마감은 청사와 마찬가지로 모르타르를 바르고 스프레이로 마감하였고, 내부는 마루바닥으로 마감하였다.

조선총독부 착암공양성소는 1938년 5월 27일 총독부의 <착암공양성소규정(鑿巖工養成所規程)>의 발포에 따라 경성 홍제정(弘濟町)에 설치되었고, 같은 해 8월 1일부터 실습생을 모집하였다. [도판6]은 착암공양성소의 배치계획에 관한 도면이다. 북서향의 장방형 부지에 청사, 기숙사, 창고, 기계장(機械場), 하치장(鍜治場), 판임관사 1‧2호로 구성되었다. [도판7]에서 청사의 평‧입단면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청사는 단층의 철근콘크리트와 벽돌의 병용구조로 계획되었고 내부벽은 목조로 구획되었다. 청사의 주요 구조는 벽돌조이나 현관 포치의 지붕과 일부 외벽에 철근콘크리트를 사용한 것이 확인된다.([도판8] 단면상세 참조) 청사의 지붕은 양식트러스 구조이며, 일식기와를 올렸다. 평면을 살펴보면, 현관을 기준으로 왼쪽에 교실이 배치되었고, 현관 오른쪽에 사무실, 교원실, 복도 끝에 소사실과 탕비실, 변소가 배치되었다. [도판9][도판10]에서는 기숙사 계획에 관해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기숙사는 단층의 목구조 건물이며, 지붕은 일식 목구조에 일식기와로 마감을 하였다. 기숙사의 평면계획을 살펴보면, 평면은 장방형의 평면에 변소와 세면장이 부속된 ㅗ자형으로 확인된다. 세로 복도의 끝에 미닫이문을 설치하여 현관이 계획되었다. 현관을 기준으로 왼쪽에 식당, 취사부실(炊事夫室), 식료품고(食料品庫), 취사장(炊事場), 욕실, 탈의실이 배치되었고, 현관 오른쪽으로 13개의 온돌방과 갱의실(更衣室)이 배치되었다. 취사부실(炊事夫室)에도 온돌이 설치되었다.

조선총독부 방독검정실의 설립과 건립위치에 관한 자료는 상세히 남아있지 않다. 중일전쟁 이후 설립된 군수(軍需)시설로서 방독(防毒)관련 업무를 관장하였던 기관으로 추정되며, 현재 남아있는 도면으로 건물의 규모와 구조 등을 알아볼 수 있다. [도판11][도판12]에서는 방독검정실의 평면 및 단면 계획을 확인할 수 있다. 평면은 중앙의 현관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으로 계획되었다. 현관에 연이어 장방형의 복도가 계획되었으며, 현관을 기준으로 왼쪽에 제1제약실(第一製藥室), 천무실(天務室), 제2제약실(第二製藥室)이 배치되었다. 현관의 오른쪽에는 사무실, 영양연구실(營養硏究室)이 계획되었다. 2층에는 복도를 따라 왼쪽부터 제3제약실, 기사 및 준비실(技師及準備室), 제1방독검정실(第一防毒檢定室), 제2방독검정실, 제3방독검정실이 배치되었다. 건물의 구조는 벽돌과 철근콘크리트의 병용구조이며, 지붕은 양식지붕트러스에 일식기와를 올렸다. 1층의 바닥은 모르타르(モルタル)로, 2층은 마루바닥으로 마감하였다. [도판13]에서는 입면계획을 살펴볼 수 있는데, 중앙현관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강조하고 창문을 단순하고 반복적인 입면요소로 사용하는 점 등이 1930년대 보편화된 국제주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는 1912년 8월 27일 전라북도 부안(扶安)군 우산내(右山內)면에 설치되었다. 본 시설의 폐지에 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에 관하여는 2개의 서로 다른 계획안이 남아 있으나, 최종적으로 건립에 반영된 안이 무엇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남아있는 도면으로 건축계획을 살펴보면, [도판14]의 배치도에서 확인되듯이 북동향의 부정형 대지의 한가운데에 건물을 배치하였고, 진입도로를 신설하였다. 건물의 구조는 단층의 목구조이며, 일식목구조에 일식기와를 올렸다. 실의 구성을 살펴보면, 중앙의 현관을 기준으로 왼쪽에 사무실, 다다미방(四帖半)이 있고, 현관의 오른쪽에 다다미방(四帖半)과 취사장, 욕실, 다다미방(六帖)이 계획되었다. 현관은 2첩의 다다미실로 구성하였으며 도마(土間)를 두고 신발을 벗는 공간을 설치한 것으로 확인된다. 입면상의 특징으로는, 외벽의 창문높이까지 세로판벽으로 마감하고 나머지 부분만 모르타르바름을 한 점을 들 수 있다.([도판15] 참조)

[도판16][도판17]은 또 다른 계획안의 배치도와 평‧입‧단면도이다. [도판14]의 안과의 차이는 건물의 형태로 평면 계획이 장방형으로 바뀐 점이다. 건물 및 지붕의 구조는 동일하다. 실의 구성을 살펴보면, 현관을 기준으로 왼쪽에 사무실이 배치되었고, 오른쪽으로 다다미방이 사첩(帖)반과 육첩의 2개실로 구성되었고, 연이어 온돌방이 배치되어 있다. 온돌방 옆으로 욕실이 배치되었는데, 각각 다다미방과 욕실은 외기를 면하는 복도인 엔가와(縁側)로 연결되었다. 현관은 도마(土間) 없이 외부에서 바로 진입하도록 계획되었다. 또, [도판15]의 입면 계획에서 세로판벽으로 마감된 외벽의 하부가 석재로 마감되어 있는 점이 두 계획안의 차이점이다.([도판17] 참조)

[참고도판]

  • 도판1. 조선총독부교학연수소청사기타신축공사배치도 / 1, 1939 상세보기
  • 도판2. 조선총독부교학연수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2, 1939 상세보기
  • 도판3. 조선총독부교학연수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3, 1939 상세보기
  • 도판4. 조선총독부교학연수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6, 1939 상세보기
  • 도판5. 조선총독부교학연수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8, 1939 상세보기
  • 도판6. 조선총독부착암공양성소청사기타전틍공사설계도 / 가공배선평면도, 1938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7. (무제) / (추정)조선총독부착암공양성소 도면, 추정 1938 상세보기
  • 도판8. 조선총독부착암공양성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청사지부, 1938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9. 조선총독부착암공양성소청사기타전등공사설계도 / 전등배선평면도, 1938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10. 조선총독부착암공양성소청사기타신축공사설계도 / 기숙사도랑하세면소변소지부, 1938년 추정 상세보기
  • 도판11. 조선총독부방독검정실기타신축공사설계도 / 3, 1940 상세보기
  • 도판12. 조선총독부방독검정실기타신축공사설계도 / 일반구계 / 5, 1940 상세보기
  • 도판13. 조선총독부방독검정실기타신축공사설계도 / 2, 1940 상세보기
  • 도판14.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신축부지배치도 / 6-1, 1910-20년경 추정 상세보기
  • 도판15.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신축공사설계도 / 6-4, 1910-20년경 추정 상세보기
  • 도판16.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신축부지배치도 / 6-3, 1910-20년경 추정 상세보기
  • 도판17. 변산삼림보호원주재소신축공사설계도 / 6-5, 1910-20년경 추정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