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주요 산림사업 > 사방 사업 > 제1ㆍ2차 치산녹화기

사방 사업

3) 제1ㆍ2차 치산녹화기

제 1차 치산녹화기

경주 시범사방 공사현장

경주 시범사방 공사현장
(1972), CET0020747(7-1)

원문보기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하에 전국 집단황폐지와 황폐계류를 복구하기 위한 총력체제에 돌입하였다. 전국 황폐지를 나지녹화 일반사방 및 특수사방으로 구분하여 황폐임지에 대한 총열대장과 총열도면을 작성함으로써 요사방지를 총열화 하였다. 동시에 전국 황폐지를 24개 단지로 구분하고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지구별 완결원칙에 입각 복구하는 한편, 사방공법 · 공종 · 설계시공 및 양식 등에 통일을 기하는 등 사방기술을 정비하였다.

1973년부터 10년간 산지사방 83,268ha, 해안사방 592ha, 야계사방 500㎞에 대해 사방사업을 실행키로 계획하였으나, 기간을 앞당겨 1978년에 산지사방 41,174ha(계획량의 49%), 해안사방 615ha(계획량의 104%) 및 야계사방143㎞(계획량의 29%)를 완료하였다.

  • 나지 단기 녹화사업 추진상황 보고

    나지 단기 녹화사업 추진상황 보고,
    1972, EA0005536(0001)

    설명보기 원문보기
  • 영일지구 사방사업 완료 보고

    영일지구 사방사업 완료 보고,
    1977, EA0023037(0001)

    설명보기 원문보기

대표적인 대단지 및 특정지구 사방사업으로는 국토노변 종합정비사업, 경북 영일지구 · 금릉지구 사방사업, 전라북도 완주지구 · 익산지구 · 남원지구 사방사업 등이 있다.

제 2차 치산녹화기

주요도로 및 사적지 주변 추기 사방계획

주요도로 및 사적지
주변 추기 사방계획,
1979, EA0023039(0001)

설명보기 원문보기

1979년부터 1986년까지의 사방사업 실적은 전반기에는 주로 일반사방과 특수사방에 치중한 반면, 후반기에는 해안사방과 야계사방에 중점을 두었다. 8년간의 사업량은 산지사방이 34,473ha, 해안사방 307ha로 계획량의 약 44%를 완성하였고, 야계사방은 156㎞로서 계획량의 47%만이 완성되어 부진한 편이었다. 그러나 산지사방사업에 있어서는 고도의 기술수준을 구사하여 지역별로 괄목할만한 성과가 나타났다.

대표적인 대단지 및 특정지구 사업으로는 경기 포천지구 사방사업, 강원도 동해고속 특정지역 사방사업, 강원도 양양대단지 사방사업, 강원도 기타 지구 사방사업(땅굴주변, 댐주변, 영동고속도로변을 포함한 영서지역), 충청북도 옥천지구 사방사업, 충청북도 보은 수해복구 사업, 전라북도 진안대단지 사방사업, 전라북도 남원지구 사방사업, 경상북도 성주지구 사방사업, 경상남도 합천대단지 사방사업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