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색인목록 바로가기

사진!대한민국 대한민국사람들의 사진속 생활 역사

관혼상제

  • 개요
  • 관례
  • 혼례
  • 상·제례
소개하는 글

상·제례

사진슬라이드보기

상례란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내는 의식이며, 제례는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의식 절차이다. 전통시대에 가장 중요시한 예법으로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해지다가 주자가례와 조선의 배불숭유정책으로 유교의식이 주를 이뤘다.

상례는 3년상, 오복제도 등 그 절차나 내용이 복잡하고 번거로웠다. 이에 정부는 1969년 「가정의례준칙」을 제정하여 번거로운 장례절차를 간소화하도록 하였다. 가정의례준칙은 호곡을 삼가하고, 상제가 머리를 풀거나 맨발이 되는 일이 없게 하며 부고서식은 한글로 하도록 하였다. 제례의 염습 및 입관절차를 간소화하고 전상의 설치와 성복제는 지내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제의 복장은 따로 마련하지 않고 여자는 흰색 한복을 입고 남자는 검은색 양복이나 한복을 입게 하였다. 굴건과 머리테 등은 간단한 상장으로 대체하도록 하는 등 전통 절차를 대폭 바꾸었다.

제례는 조선후기에 천주교,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종교적인 논의가 되기도 했다. 제례 의식도 「가정의례준칙」이 제정·시행됨에 따라 간소화 되었다. 「건전가정의례준칙」의 시행으로 제례는 기제, 명절차례로 통합되었다. 또한 기제의 대상은 제주의 2대조까지로, 참석자의 범위는 사망자의 직계자손으로 축소되었다. 제수는 간단한 반상음식으로 차리도록 하고, 축문과 지방은 한글을 쓰도록 하였다.

전통적 농촌공동체의 붕괴와 도시화로 말미암아 현대의 상례는 간소화한 의식으로 거의 장례식장에서 치러진다. 상례와 제례는 유교식 외에 불교식, 천주교식, 기독교식 등 해당 종교의식에 따라 행하기도 한다.

대표사진보기

조선왕조말 장례식 사진(복사)

조선왕조말 앨범 장례식 사진 2
기록물 철 제목 조선왕조말 장례식 사진(복사)(CET0047068)
기록물 건 제목 조선왕조말 앨범 장례식 사진 2(연도미상)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2
기록물 철 제목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CET0093529)
기록물 건 제목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2(1952)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4
기록물 철 제목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CET0093529)
기록물 건 제목 해사국 고○○씨 순직 장의식4(1952)

삼성역 사고(고씨 장례식)

삼성역 사고(고씨 장례식) 4
기록물 철 제목 삼성역 사고(고씨 장례식)(CET0093569)
기록물 건 제목 삼성역 사고(고씨 장례식) 4(1953)

이시영전부통령 장례식

이시영전부통령 빈소 2
기록물 철 제목 이시영전부통령 장례식(CET0026058)
기록물 건 제목 이시영전부통령 빈소 2(1953)

부산열차사고 조문 현장

부산열차사고 조문 현장 10
기록물 철 제목 부산열차사고 조문 현장(CET0093678)
기록물 건 제목 부산열차사고 조문 현장 10(1955)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
기록물 철 제목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CET0042915)
기록물 건 제목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1960)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2
기록물 철 제목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CET0042915)
기록물 건 제목 4·19 의거 학생 일반인 49재2(1960)

고 이승만 전대통령의 장례식

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례식 4
기록물 철 제목 고 이승만 전대통령의 장례식(CET0069978)
기록물 건 제목 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례식 4(1965)

고 이승만 전대통령의 장례식

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의 행렬 12
기록물 철 제목 고 이승만 전대통령의 장례식(CET0069978)
기록물 건 제목 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의 행렬 12(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