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과 적막이 감도는 비무장지대(DMZ) 안에 ‘자유의 마을’이라고 불리는 민간인 거주지역이 있다. 자유의 마을은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 라는 행정상의 명칭이 오히려 낯설 정도로 ‘대성동 마을’, ‘자유의 마을’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1950년 일어난 6.25전쟁은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을 통해 겨우 전쟁이 중단되었다. 남북 양측은 협정 당시의 전선을 유지하며 군사분계선을 확정하고, 이 선으로부터 각각 2Km 후퇴한 후 비무장지대를 설정하고 이 비무장지대 내의 모든 주민을 후방으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남북 비무장지대에 각각 1곳씩 마을은 둔다'는 규정에 따라 8월 3일부터 군사정전위원회는 당시 경기도 장단군 군내면 조산리 대성동지역을 ‘자유의 마을’이라고 명명하고, 거주하고 있던 30세대 160여 명의 주민들을 계속 거주하게 하였다. 자유의 마을은 북동쪽으로 약 1km에 판문점이 있고, 서쪽에 있는 군사분계선과는 400m 정도 거리이다. 군사분계선 북쪽 비무장지대에 있는 북한의 기정동 마을과는 직선거리로 1.8km에 위치하고 있어 한반도 분단과 대치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자유의 마을은 유엔군사령부가 관리하는 비무장지대 안에 있기 때문에 정전협정의 부칙에 의거, 행정구역상 파주시에 속해 있지만 대한민국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유엔군사령부의 관리를 받고 있는 지역이다. 휴전협정 제1조 10항 "비무장지대 내의 군사분계선 이남의 부분에 있어서의 민사 행정 및 구제사업은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이 책임진다."에 근거한 것이다. 이 때문에 유엔군사령부 민정(民政)중대가 상주하여 마을의 민정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형법 및 행정권의 효력이 존재하나 대한민국이 법률적 통제를 가하기 위해서는 유엔군사령부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마을 주민은 참정권과 교육권은 있으나 납세·병역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도 되고 각종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생활의 제약을 감수해야 한다.
마을주민 대부분은 쌀, 인삼, 콩 등을 경작하며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1950년대 후반부터 정부와 유엔사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농업여건이 향상되어 1962년에는 벼 1만 가마를 생산하고 1993년에는 3만 8천 가마의 벼를 생산하였다. 2010년 기준으로 자유의 마을은 전체 43농가의 호당 평균소득이 6,700만 원으로 다른 민통선 북쪽마을과 비교하여 1.5배 가량 많은 편이다. 정부와 유엔사는 마을의 근대화에도 큰 지원을 하였다. 1959년 유엔사는 마을주민들을 위해 무상으로 벽돌조 문화주택을 건설하고 동사무소, 의무실, 목욕탕, 공회당인 자유의 집 등의 마을 공공시설을 건설하였다.
남북한의 긴장이 고조되고, 체제 경쟁이 치열했던 1970년대 정부는 특수지역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대성동종합개발을 실시하였다. 1·2차에 걸쳐 실시된 개발사업으로 자유의 마을은 주택, 도로, 공동시설, 전기가설, 경지정리, 주택개량, 시설현대화, 학교개축, 하천정비, 상수도설치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북한과 가장 가까운 마을인 자유의 마을은 늘 긴장감을 떨칠 수 없는 지역이다. 1958년 일어난 마을주민의 월북사건과 인민군 헌병에 의한 살해사건 등으로 마을 주민들의 불안감은 고조되었다. 정부는 이 마을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지속적 지원을 하게 되었고, 유엔사도 적극적인 지원을 하게 된 것이다.
자유의 마을에는 대성동초등학교가 유일한 교육기관이다. 1954년 마을자치로 운영되던 간이학교로 출발해 1968년 3학급을 인가받아 정식으로 개교했다.